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개별기업 자료를 이용한 식품제조업의 생산성 측정과 변화 요인 분해

2024.12.20 80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성용, 김나흔; 조남욱
  • 등록일
    2024.12.20
목차

1. 서론
2. 분석 방법
3. 분석 자료와 결과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논문은 식품제조업의 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업 단위의 재무제표 패널자료로부터 부가가치 생산함수를 추정하여 개별기업별로 총요소생산성을 도출하였다. 분석 기간인 2001~2021년을 4개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기업의 진입과 퇴출을 고려한 동태적인 관점에서 집계 생산성의 변화 요인을 4가지 요인(존속기업 생산성, 존속기업 간 자원 재분배 효과, 진입기업 생산성, 퇴출기업 생산성)으로 분해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평균생산성이 향상함에도 2021년 집계 생산성은 2001년 수준에는 못 미쳤다. 식품제조업을 10개 산업으로 분류할 때 기타식품제조업과 육가공산업에서 생산성 수준과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생산성 변화의 동적 분해에 따르면 개별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못지않게(어느 기간에는 그 이상으로) 기업의 순진입효과를 높이는 것이 집계 생산성 향상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후로 집계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자원 재분배의 효과는 작아질 뿐만 아니라 부(-)의 효과를 보였다. 식품제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진입 및 퇴출 장벽을 없애 식품제조업의 시장 생태계를 더욱 경쟁적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존속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으로 R&D 지원이나 중소업체가 선도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도록 하는 기술 확산 정책이 요구된다.

This study uses the Levinsohn and Petrin technique to estimate the Cob-Douglas production function from a panel data of firm-level financial statements.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each firm in the Korean food manufacturing industry is then derived. The productivity analysis covers the period from 2001 to 2021, which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We identify the drivers of changes in aggregate productivity from a dynamic perspective, taking into account the entry and exit of fir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a notable increase in aggregate productivity since 2011, but it remains below the level observed in 2001. When the food manufacturing industry is divided into 10 sub-industries, the productivity levels and growth rates of other foo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meat processing industrie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 The dynamic Olley-Pakes productivity decomposition shows that the increase in the net entry effect of firms is as significant as (and, in some periods, more substantial than) the productivity growth of individual firms for aggregate productivity growth. Since 2016, the impact of resource reallocation on aggregate productivity growth has not only diminished but also turned negativ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 enhance productivity growth in food manufacturing, the market ecosystem of food manufacturing should be made more competitive and dynamic by removing entry and exit barriers. In addition, R&D support for firms and technology diffusion policies that facilitate the rapid acquisition of technology by small and medium-sized firms from frontier firms are necessary measures to boost the productivity of surviving firms.

저자정보
김성용Kim, Sungyong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성용Kim, Sungyong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80
  • 다운로드
    3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한 농작물재해보험의 피해율 추정과 활용
이전글
폭염이 집단 식중독 환자 발생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