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기후변화가 농업소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2024.03.20 4876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덕파
  • 등록일
    2024.03.20
목차

1. 서론
2. 자료
3. 추정 모형
4. 추정 결과
5. 결론

요약문

농가경제조사의 2003년에서 2022년까지 9개 도에 대한 농업소득 및 농업생산성 자료를 이용하여 연평균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가 농가소득에 미친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농업소득과 농업생산성을 자가영농시간으로 표준화하였을 때 기온의 영향이 가장 잘 나타났다. 자본재의 양으로 표준화하였을 때도 비슷한 결과가 얻어졌으나 경지면적으로 표준화하였을 때는 다소 다른 결과가 얻어졌다. 자가영농시간으로 표준화하여 얻은 결과를 보면 기온의 한계효과가 기온 수준에 따라 달라지며 13℃ 안팎에서 양에서 음으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 다른 한계효과를 허용하는 모형에서는 온도가 낮은 편인 중부지방에서 대체로 양의 효과가 있고 온도가 높은 편인 남부지방에서 대체로 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stimates the impacts of yearly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n agricultural income and productivity in Korea. The data used are panels consisting of 9 provinces from 2003 to 2022, which are constructed using the farm household survey data in Korea. The impacts of mean temperature are the most evident when agricultural income and productivity are normalized with respect to hours of work. Similar results are obtained when agricultural income and productivity per unit capital are considered. However, slightly different results are obtained when agricultural income and productivity per unit area are considered. Overall, the marginal effect of mean temperature depends on the level of temperature and it switches sign from positive to negative around 13℃. Furthermore, when the marginal effect is allowed to differ across provinces, it is positive in the central provinces where there are relatively low mean temperatures while negative in the southern provinces where there are relatively high mean temperatures.

저자정보
김덕파Kim, Dukpa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덕파Kim, Dukpa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4876
  • 다운로드
    505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양곡소비량조사 진단과 개선 방향
이전글
재난지원금이 가구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득분위별 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