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농촌경제
재난지원금이 가구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득분위별 효과를 중심으로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1. 서론
2. 분석자료와 분석 방법
3. 추정 결과
4.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2019년 12월 발생한 COVID-19(코로나바이러스)와 이로 인한 제1차 재난지원금이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분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2020년 농촌진흥청 소비자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패널토빗(Tobit)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코로나바이러스와 재난지원금은 가정 내 쇠고기 구입액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소득 5분위에 속한 가정에서 하위 소득분위의 가정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쇠고기를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특성별 변수로는 가구원 수가 증가할수록,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가구주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가구주가 전업주부인 경우, 가구원 중 미성년자가 포함된 경우 쇠고기 구입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COVID-19 outbreak in December 2019 and the first round of disaster support payments on beef purchases by income group. Consumer panel survey data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rom 2017 to 2020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Tobit model was applied. The mai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VID-19 and disaster support payments increased the amount of beef purchased within households, and in particular, after the disaster support payments were paid, households in the fifth income quintile purchased significantly more beef than households in the lower income quintile. Among household characteristic variable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igher income quintile, higher age range of the household head, the household head being a full-time housewife, and the presence of underage in the household were found to increase beef purchases.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220029.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220029.jpg)
-
상세정보 조회4006
-
좋아요0
-
다운로드150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기후변화가 농업소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 이전글
- 임가의 소득불평등도와 요인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