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농촌경제
금융화의 진전에 따른 세계곡물가격의 구조적 변화와 변동성에 관한 연구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분석모형
3. 추정 결과
4. 결론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화의 진전에 따른 세계곡물가격의 구조적 변화 여부와 그에 따른 변동성의 집중화, 비대칭성, 환류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정책적 의사결정에 있어 전략적으로 활용가능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분석 결과, 금융화의 진전에 따라 곡물가격에 상당한 규모의 구조적 변화가 존재하였으며, 그 시기인 단절점은 2006년 7월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체 분석기간을 구조적 변화 이전인 기간Ⅰ과 이후인 기간Ⅱ로 구분하였으며, 평균-분산모형은 기간Ⅰ에서는 AR(1)-EGARCH(1, 2)-M모형이, 기간Ⅱ에서는 AR(1)-EGARCH(1, 1)-M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기간 모두 변동성 집중화가 나타났으나 구조적 변화 이전보다 이후에 변동성이 더 확대되었고,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정(+)의 비대칭적 변동성이 존재하여 전체적인 변동성 확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에는 정(+)의 위험프리미엄으로 나타나던 변동성 환류가 곡물에 대한 투기적 성향으로 인해 부(-)의 위험프리미엄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uctural changes in world grain prices due to the progress of financialization and the clustering, asymmetry, and feedback of volatility the come with it,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strategically in related policy decis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is a significant structural change in grain prices as progress in financialization, with a break point in July 2006. Accordingly, the entire analysis period is divided into two periods: period I, before the structural change, and period II, after the structural change, and the mean-variance model is found to be the AR(1)-EGARCH(1, 2)-M model in period I and the AR(1)-EGARCH(1, 1)-M model in period II. Volatility increases more after the structural change than before. Volatility clustering appears in both periods, but volatility expands more after than before the structural change, and positive asymmetric volatility that is not present before exists, which appears to affect the overall increase in volatility. There is volatility clustering in both periods, but there is also asymmetric volatility where the negative volatility, which is not present before, contributed to the overall volatility.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volatility feedback, which previously appear as a positive risk premium, changes to a negative risk premium due to the speculative tendency for grains.
저자정보
![](../images/default_person.png)
저자에게 문의
![](../images/default_person.png)
-
상세정보 조회4738
-
좋아요0
-
다운로드242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가축질병치료보험 가입에 따른 한우 농가의 방역치료비 변동성 완화 효과 분석
- 이전글
-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신선농산물 소비 변화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