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목차
1. 서론
2. 분석 방법
3. 분석 자료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방법을 이용하여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과거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도시민 간 인식 차이와 현재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인과 도시민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농촌지역 거주 경험이 있는 도시민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도와 애착심이 높고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가치 인식과 이를 유지·보전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세 부담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퇴 후 귀농·귀촌에 대한 의향이 높고 정부의 관심 및 지원 수준은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은 도시민보다 농업·농촌에 대한 애착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모든 부문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라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도시민의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정책과 농업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효과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living in rural areas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 and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To this e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urban resident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living in rural areas in the past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farmers and urban resident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in the present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mpared to urban residents without experience in rural areas, those with it have higher interest in and attachment to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have higher awareness of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higher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tax to maintain and preserve the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se urban residents' intention to return to farming and rural areas after retirement was high and the residents thought the level of the government's interest and support was low. Farmers showed higher attachment to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an urban residents, but negative perceptions were high in all other areas. These results mean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living in rural areas. It is also implied that policies to raise urban residents' interest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s well as continuous interest in farmers and effective policy support, are needed.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7717
-
좋아요1
-
다운로드356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 이전글
-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