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목차
1. 서론
2. 분석 모형과 추정 방법
3. 분석 자료와 추정 결과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고는 2006~2021년 분기별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해 소비자들의 농식품 소비지출 비중이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지를 분석하였고, 가구원 수 감소로 대표되는 가족구조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계량분석 하였다. 분석을 위해 신축적인 소비행위를 허용하는 EASI(Exact Affine Stone Index) 수요체계를 추정하였다. 1인과 2인 가구의 구성비 증가는 곡물, 육류, 낙농의 지출 비중을 줄이고 수산물, 과일의 비중을 늘리는 등의 변화를 유발했지만, 두 가구 유형은 일부 품목에서는 서로 반대 방향의 선호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가구 소득, 가구주 연령, 임금 소득자로의 전환, 식품 선호도 변화 등이 식품 소비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과 크기도 가족 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지난 15년 동안 가족 수, 연령, 소득원 등 여러 특성의 동시적 변화에 의해 발생한 가족구조 변화는 유의한 소비행태변화를 품목별로 초래하였는데, 지속적으로 지출비중이 증가하는 가공식품류 보다는 조리과정을 필요로 하는 곡물, 육류, 수산물, 낙농, 과일, 채소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그리고 가족구조의 동시적 변화는 육류와 가공식품 소비 비중이 커지는 경향성을 어느 정도 낮추는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We estimated an EASI (Exact Affine Stone Index) food demand system in Korea using the quarterly data of the period 2006-2021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 family structure on food expenditures. Family structure variables of the model include family size, household head age, and income sources (wage vs. non-wage). The marginal impacts of these househol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ose of family income and food preference changes over time were estimated. We identified food preference differences among families with a single member, two members, three members, four members, and five and more members. It is shown that both single-member families and two-member families prefer more fishery products and fruits but less grain, meat, and dairy products than large-sized families. However, those two types of small-sized families revealed preferences on processed foods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we simulated the changes in food expenditures caused by the simultaneous changes in family size, age, and the proportion of wage earners for the last 15 years. It is shown that the family structure change affected fresh food expenditures more than processed food expenditures. We found that the observed trend of increasing shares of meat and processed foods would have been even strengthened if there had been no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9122
-
좋아요0
-
다운로드427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 이전글
-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