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암소도축률을 이용한 한우 중·장기 수급모형 연구

2022.03.30 14068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전상곤, 박동주
  • 등록일
    2022.03.30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모형과 분석 방법
3. 분석 결과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연구는 한우 수급모형 정교화를 위해 수행되었다. 최근 한우 사육두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가격 하락에 대한 불안감이 산지 중심으로 커지고 있다. 현 상황에 불안한 사육 심리와 한우산업의 안정을 위해 중·장기 모형을 개발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우 중·장기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이력제 자료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연구와 선행연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육두수를 기반으로 모형을 구성한 것이 아니라 율(률)의 개념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조화한 것이다. 즉, 특정 시점의 저량(사육두수)과 특정 기간의 유량(출생두수, 도축두수 등)의 개념을 율(률)로 환산하고 이를 변수화하여 모형의 주요 변수로 선택하였다. 이 모형의 장점은 한우 사육 구조의 구조적 변화, 농가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모델에 쉽게 반영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개발된 모델은 농가의 중·장기 사육 의도와 한우산업의 수급 상황을 보다 쉽게 예측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한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중·장기 수급 안정을 위한 적절한 대응방안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refine the forecast model for Korean cattle supply and demand amid concerns about price drops due to a steady increase in Korean cattle breeding. Also, our research aims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fining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breeding and slaughtering status in the Korean cattle industry.
This study established a ‘mid-to-long-term forecast model for Korean beef supply and demand, fa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by using slaughter rates instead of the number of cattle heads. In addition, the model successfully reflects concerns about farmers’ risks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current Korean beef breeding structure. As a result, the model we devised through our research will make it easier to forecast farmers’ mid-to-long-term breeding intentions and the supply-demand status in the Korean beef industry.

저자정보
전상곤Jeon, Sanggon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전상곤Jeon, Sanggon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14068
  • 다운로드
    254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소비역량과 식품안전 인식이 원산지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이전글
농식품 수출업체의 온라인 수출 참여 및 투자의향 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