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임산업체의 산림인증목재 구입 지불의사액 추정

2020.03.31 65806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전철현, 이호상; 김동현
  • 등록일
    2020.03.31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분석 방법
3. 설문조사 및 지불의사액 추정 결과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2018년 10월부터 시행되는 합법목재교역촉진제도와 관련하여, 목재류비관세장벽에 대한 인식과 대응, 합법목재교역촉진제도 및 조치에 의한 영향 분석, 산림인증목재 구매의사 및 산림인증목재 구입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을 목적으로 전국 201개 목재수입업체 대표자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2018년 6월 12일~9월 30일까지 일대일 면접조사로 하였다. 샘플은 목재생산업으로 등록한 업체를 기준으로 모집단의 권역별 사업체 소재지 비율을 고려하여 3개 권역 수도권 140개, 경상권 30개, 충청/전라권 30개로 배분하여 리서치림에서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하면, 비관세장벽에 대한 인식과 대응 관련하여 수입업체의 66.2%가 ‘문제 발생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는 분야는 ‘정확한 기술규제 정보 제공’이 60.7%, ‘기술규제 대응 솔루션 제공’이 상대적으로 60.2%로 높게 나타났다. 목재 합법성을 인정받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벌채허가서(58.2%), 산림인증(FSC, PEFC, CoC) 취득(57.2%)이 높게 나타났다. 목재의 합법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수단 중의 하나인 산림인증 목재를 구매하기 위한 추가 비용지불에 대해 24.4%가 응답하였으며, 이중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평가법에 의해서 평균값 28,059원/㎥, 절단값은 13,188원/㎥, 중앙값은 28,428원/㎥이 추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전국 목재 관련 사업체들에 대한 비관세장벽 및 합법목재교역촉진제도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합법목재교역촉진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중요한 변수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입목재업체들에게 적극적으로 제도의 목적 및 중 요성에 대해서 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arry out an analysis of the business’s perception against non-tariff barriers to the timber trade, the impact on the Act of Legal Timber Trade Promotion, and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off the forest certified-timber for legality certification acquisition. We conducted an interview survey targeting representatives or managers between June 12~September 30, 2018. The samples for the survey were allocated to 140 units in the metropolitan area, 30 units in the Gyungsang area, 30 units in the Chungcheong/Jeonra area, considering the proportion based on the registered companies as timber production. To summarize the main results, 66.2% of the surveyed companies in the importation of timber answered that they faced problems concerning the recognition and responses of non-tariff barriers. Regarding the areas for the national response, 60.7% of respondents pointed to ‘precise technical regulatory information’ and 60.2% to ‘provision of solutions for technical regulations.’ As for the instrument to be recognized as legality in case of a restriction on illegal timber trade among the number of measures to obtain legalization was harvesting permits (58.2%) and the acquisition of forest-related certification(FSC, PEFC) (57.2%). Regarding the estimation of payments for the recognition of timber legality, 24.4% of respondents representing additional costs to purchase forest-certified wood as a means of obtaining legality of timber pay additional costs approximately average WTP ₩28,059/㎥, Truncated WTP ₩13,188/㎥, Median WTP ₩28,428/㎥ using DBCV. This result could be useful as policy-making against NTB in timber-related business. As well, it is necessary to make an advertisement of the instrument for reducing adverse effects before implementing the new institution.

저자정보
전철현Jeon, Chulhyun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전철현Jeon, Chulhyun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65806
  • 다운로드
    97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이전글
개인의 특성이 식품물가지수와 소비자체감물가 간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