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농업인 교육 패널자료를 활용한 농업 인적자원 개발 투자에 대한 성과분석

2019.12.30 30939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상태, 지인배; 김기주
  • 등록일
    2019.12.30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검토와 분석모형
3. 분석 결과
4. 결론 및 한계

요약문

본 연구는 2017년에 시행된 농업인 교육 패널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정부의 “농업농촌 교육훈련사업”내 교육훈련 투자의 성과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농업인에 대한 인적자원 개발 투자가 여러 차원의 성과영역에 걸쳐 어떤 경로를 거쳐 영향을 미치고, 각 영역(인적자원성과 영역, 경영성과영역, 재무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각 변수들간의 계수측정과 설명력을 추정하는 측정모형(measure model)과 모형에서 각 영역간 설정된 변수간 관계를 검증하는 구조모형(structure model)으로 나누어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농업인에 대한 인적자원 개발 투자는 농업인의 직무능력 향상과 직무만족 등 인적자원 성과를 거두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 부분이 생산성 향상이나 비용절감, 경영효율화 등의 경영성과에도 기여하였다. 특히 농업인에 대한 인적자원개발 투자는 소득증가와 같은 재무적 성과보다 인적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쳐, 일반 기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와 기존 농업인 교육정책사업 평가·분석 선행연구와 동일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gricultur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vestment using agricultural education panel data. It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vestment. It examined the performanc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vestment and tested the performance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21.0.
The major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Investment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farm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human resources such as improving job skills and job satisfaction of farmers. In particular, investment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farmers had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human performance than income performance, and the same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or regular companies. Also, human perform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gricultural performance and income performance, which was analyzed to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agricultural performance than income performance.

저자정보
김상태Kim, Sangtae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상태Kim, Sangtae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30939
  • 다운로드
    133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2020년~2025년 농업인력 수요 전망
이전글
여성농업인의 연령집단별 영농활동 비중 결정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