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비모수적 추정을 통한 쌀 농가의 생산성 및 수익성 변화 요인 분석

목차
1. 서론
2. 분석 모형
3. 분석 자료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한국 쌀 농가의 수익성 및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며, 생산성 변화를 교역조건 변화, 기술 변화, 기술효율성 변화, 규모효율성 변화, 혼합효율성 변화로 분해한다. 이를 위해 생산성 변화 계측에 적합한 Lowe 지수를 구축하며 총요소생산성을 전술한 여러 효율성 척도로 분해하기 위해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자료는 2003년부터 2016년까지의 농산물생산비조사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농가의 수익성은 교역조건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농가 수익성 악화는 주로 교역조건의 악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한국 쌀 농가는 기술적으로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혼합효율성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쌀 농가의 생산성 향상이 주로 기술 개발이나 농가들의 새로운 환경요소나 기술 상황에 따른 재배방법 최적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경영주의 나이가 많을수록, 영농규모가 작을수록 농가의 혼합효율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the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of Korean rice farms. Also we decomposes changes in the profitability into changes in terms-of-trade, technical change, technical efficiency change, scale efficiency change and mix efficiency change. To be specific, we constructs Lowe index which is ideal for the measurement of quantity change. Also, we apply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ology for decomposing TFP into the several efficiency measures. Farm production cost survey covering the period 2003 to 2016 is incorpor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terms-of-trade would have the largest and negative effects on farms’ profitability. Also, rice farms in Korea are technically efficient, but they exhibited much lower mix efficiency. Lastly, farm operator’s age w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farms’ mix efficiency, while larger farms tend to have greater mix efficiencies than smaller farms.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8625
-
좋아요0
-
다운로드322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용도차별화 AIDS모형을 이용한 가공식품 수요 분석
- 이전글
- 농촌경제 제42권 제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