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계란 살충제 성분 검출의 소비자 후생효과 분석

목차
1. 서론
2. 분석 모형과 분석 자료
3. 분석 결과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고는 2017년 국내에서 발생한 계란 살충제 성분 검출의 소비자 후생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구축한 농식품 소비자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계란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 인식이 반영된 계란 수요함수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소비자 후생손실은 약 8,118~8,549억 원 수준이며 이 중 약 12.0~12.9% (1,027~1,049억 원)는 계란의 품질 변화가 아닌 소비자가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해 발생한 비용, 즉 무지의 비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농식품 안전사고의 사전 예방조치, 사고 발생 시 이를 즉각 인지할 수 있는 사후 모니터링 시스템, 사고 수습 후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제반 정책 조치가 모두 중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2017 egg contamination incident in South Korea on consumers’ welfare. We estimate two types of single equation demand systems for eggs, and those equations incorporate consumers' subjective perception of eggs’ quality. The estimation is based on a survey on agri-food expenditure designed and implemen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the aggregated household data from the survey are used to represent national price and consumption of eggs as well as agri-food expenditure. Our results show that the total consumer welfare loss was 811.8~854.9 billion won, and the cost caused by ignorance about the incident accounted for 12.0~12.9% (102.7~104.9 billion won) of the total lo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semination of accurate information and prompt action after a contamination incident along with efforts to secure safety of goods' quality are important in order to alleviate consumers' welfare loss.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26312
-
좋아요1
-
다운로드185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농촌경제 제42권 제1호
- 이전글
- 정부 정책이 귀농인 가구소득에 미친 효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