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농촌경제
기능성 매실 가공품의 구매의사 영향 요인 분석: 순천 매실 사례를 중심으로

목차
1. 서론
2. 분석 모형
3. 분석 자료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기능성 매실 가공품에 대한 구매의사 및 최대지불의사금액 결정 요인을 분석하며, 특히 매실의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정도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상가치평가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지불카드방법 형태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매의사가 없다고 응답한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허들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두 번째 단계인 최대지불의사금액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구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의 매실 기능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기능성 매실 가공품에 대한 구매확률과 최대지불의사금액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매실 생과나 매실 가공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농가의 매실 가공품 구매확률이 더 높은 것을 통해 매실 관련 제품의 소비 간에는 상호보완적인 모습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agricultural R&D on farm income in Korea. We constructed a decomposition method where farm income change was decomposed into the four effects of output price change, input price change, productivity change and production scale change. Before the decomposition method was applied, the impacts of the R&D expenditure on the changes in output prices, input prices,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factor-bias were econometrically estimated. We found that the agricultural R&D expenditure negatively affected farm income by reducing agricultural product prices substantially. On the other hand, the agricultural R&D expenditure resulted in a saving in cost by reducing input prices and enhancing productivity. An increase in production scale owing to the R&D expenditure also contributed to farm income slightly. The sum of the positive effects of input price decline, productivity change, and scale change of the agricultural R&D dominated the negative effect of output price declin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D effects are substantially variant across farm households depending on their choice of products, input shares, farmland size, and production location.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45274
-
좋아요0
-
다운로드176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외식업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이전글
- 농업부문 연구개발투자가 농가유형별 소득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