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농업부문 연구개발투자가 농가유형별 소득에 미치는 영향

2018.06.30 46628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권오상, 반경훈; 허정회
  • 등록일
    2018.06.30
목차

1. 서론
2. 분석 모형
3. 분석 자료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고는 지난 9년간 이루어진 농업 R&D투자가 농업생산자의 소득에 기여한 바를 요인별로 그리고 농가 유형별로 분리하여 계량분석하고자 하였다. R&D투자가 농산물 품목별 가격과 투입요소별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계량분석하고, 비용함수 추정을 통해 농업R&D가 농업생산성과 투입요소편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분석하였다. 이어서 농가의 농업소득변화를 산출물가격변화, 투입요소가격변화, 생산성변화, 생산규모변화의 요인별로 분해하는 것을 Bennet지수를 이용해 시행하고, R&D 투자로 인해 발생했던 이들 네 가지 요인이 각각 농가유형별로 유발한 소득변화를 실제로 도출하였다. R&D의 생산성효과는 투입대비 산출을 증가시켜 농업소득 증가에 기여하였으며, 생산량이 늘어남으로써 일부 농가유형을 제외하고는 규모효과를 통해서도 소득증대에 기여하였다. R&D의 농가유형별 영향은 생산성변화효과 측면에서는 유형별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산규모효과는 품목이나 농가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가격효과인 산출물가격효과와 투입요소가격효과도 농가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agricultural R&D on farm income in Korea. We constructed a decomposition method where farm income change was decomposed into the four effects of output price change, input price change, productivity change and production scale change. Before the decomposition method was applied, the impacts of the R&D expenditure on the changes in output prices, input prices,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factor-bias were econometrically estimated. We found that the agricultural R&D expenditure negatively affected farm income by reducing agricultural product prices substantially. On the other hand, the agricultural R&D expenditure resulted in a saving in cost by reducing input prices and enhancing productivity. An increase in production scale owing to the R&D expenditure also contributed to farm income slightly. The sum of the positive effects of input price decline, productivity change, and scale change of the agricultural R&D dominated the negative effect of output price declin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D effects are substantially variant across farm households depending on their choice of products, input shares, farmland size, and production location.

저자정보
권오상Kwon, Ohsang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권오상Kwon, Ohsang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46628
  • 다운로드
    461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기능성 매실 가공품의 구매의사 영향 요인 분석: 순천 매실 사례를 중심으로
이전글
농촌경제 제41권 제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