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농산바이오매스 이용의 손익분기규모와 이용 활성화 방향

2008.10.01 8941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박현태, 김연중
  • 등록일
    2008.10.01
목차

1. 머리말
2. 농산바이오매스의 발생과 이용 실태
3. 농산바이오매스 이용의 손익분기규모
4. 농산바이오매스의 이용 활성화 방향
5. 맺음말

요약문

농산업 바이오매스는 지역적으로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어 수집에 어려움이 많고, 자원화 과정에서 경제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바이오매스의 이용은 폐자원의 활용이라는 점과 지구온난화 방지 등 환경문제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 및 제품화가 새로운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새로운 산업으로의 발전은 농업?농촌의 활성화와 순환형 지역사회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농촌지역을 포함한 광역 지역단위에서는 농산부산물, 가축분뇨, 목재나 임산부산물 등 다양한 농림업 바이오매스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계 바이오매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일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할 것이 아니라 농림업 각 부문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를 종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농림업 바이오매스뿐만 아니라 지역 내의 일반 가정?식품가공분야?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와 식품폐기물 등도 자원화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즉 농업내부 뿐만 아니라 지역까지 아우른 광의의 이용시스템이 필요하다.
각종 바이오매스를 자원화하기 위해서는 지역단위에서 운영하는 바이오매스자원화센터가 필요하다. 자원화센터는 농축산부산물, 산림부산물, 식품폐기물, 음식물쓰레기 등을 이용하여 퇴비, 사료 등 바이오매스 제품과 가스 및 전기 등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와 운용 인력 확보가 선결 과제이다. 생산된 퇴비나 사료 등은 농업부문에 재 환원되고 가스, 전기 등의 에너지는 지역 내의 일반 가정 및 농림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시스템이 지역 내 바이오매스 자원화센터를 중심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매스 발생자와 자원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전제되어야 하며, 지방정부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Biomass is the total mass of living organisms in an ecosystem as a source of energy and raw materials. It is closely related with agriculture and forestry. Various forms of biomass, such as agricultural by-products, animal manure, and wood wastes of forest activities, are obtained in rural areas. Biomass from agricultural and forestry activities is usually scattered about in vast areas, and this makes it difficult to collect and be economically viable. The utilization of waste resources as feedstock, however, contributes to preventing global warming. And the production of bioenergy and biomaterials from biomass can expand into a new industry that leads to activate agriculture and rural society and form cyclic local areas.

저자정보
박현태Park, Hyuntae
일용직
소속: 연우회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박현태Park, Hyuntae
일용직
소속: 연우회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8941
  • 다운로드
    28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우리나라 주요 농산물의 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 개편방안
이전글
여성농업인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