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2003.07.01 15881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성주인, 송미령
  • 등록일
    2003.07.01
  • 연구주제
    농촌개발및산업.
목차

Abstract
The ve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classify rural areas
and then following this classification scheme, delve into their area-specif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concentrating upon their relationships to cities.
Upon factor analysis, non-agricultural regional-economic factors, urban area
factors, and suburbanization factors are found to be major determinants in
classifying rural areas. Accordingly rural area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four major groupings; rural areas with strong emphasis on non-agricultural
sector, areas with high degree of self-sufficiency, areas with strong
interaction with cities, and finally, typical rural areas. Finally, after
studying and comparing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demography, farming
households, and land uses, strong interaction with cities is judged not to be a
propellant of their growth.
목 차
1. 서 론
2. 지역유형 구분의 전제와 방법
3. 요인분석을 통한 지역유형
구분 결과와 해석
4. 지역유형별 농촌 특성 비교
5.
결 론

요약문

저자정보
성주인Seong, Jooin
선임연구위원
소속: 농촌환경연구본부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성주인Seong, Jooin
선임연구위원
소속: 농촌환경연구본부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15881
  • 다운로드
    66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경기지역 농산물의 지역별 특화산업 연구
이전글
AN ANALYSIS OF PRODUCTION OBJECTIVES OF SMALL-SCALE RURAL FARMING HOUSEHOLDS IN KWARA STATE, NIG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