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수시연구과제
한우낙농 산업 경영안정 대책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한우낙농 산업 동향 및 여건 변화
제3장 사료가격 안정기금 도입 검토
제4장 원유 인센티브 개선 방안
제5장 숙성육 시장 확대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연구는 한우낙농 농가의 경영안정과 축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사료가격 안정기금 도입, 원유가격 정산 인센티브 개선, 저등급/저지방 부위 활용방안 등을 검토하였다.
사료가격 안정기금 도입을 위해 일본의 운영 사례를 검토하고, 우리나라에 도입할 경우 야기되는 문제와 대안을 제시하였다. 원유가격 정산 인센티브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현행 제도 및 젖소 사육비용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개선 방안과 개편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저등급/저지방 부위 활용방안으로 숙성육 시장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숙성육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한우 등급 간 가격 차이 축소와 장기비육 유인 약화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숙성육 시장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The increase in grain prices due to the Ukraine-Russia war is causing problems for Korean cattle and dairy cows industries. Beef prices are going down and the dairy industry is not competitive.
○We need to find ways to reduce production cost and expand markets. This can help the cattle farming industr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Korean cattle and dairy products.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the issues and stabilization measures being discussed by policy group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15726
-
좋아요2
-
다운로드533
같은 분야 보고서
-
공공형 계절 근로 시범사업 성과와 과제
엄진영2023.11.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2023.12.30KREI 보고서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2023.11.30KREI 보고서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2023.04.30KREI 보고서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2023.07.30KREI 보고서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2023.03.09KREI 보고서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2023.05.30KREI 보고서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2023.06.28KREI 보고서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2023.03.09KREI 보고서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허정회2022.11.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 이전글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