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수시연구과제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지식재산권의 개념과 분류
제3장 농업·농촌 분야 지식재산권 관련 제도와 현황
제4장 농업 분야 지식재산권 효과 분석
제5장 농업·농촌 분야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요약문
이 연구에서는 농업·농촌 분야의 지식재산권의 주요 내용과 현황을 우선 살펴보고, 효과는 어떠한지, 그리고 지식재산권 강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Purpose of Researc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look at the main contents and statu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hat the effects are, and what is needed to strengthe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search Method
○ Understand the concept and mea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rough literature, laws, government data, etc.
○ Identify the status and actual statu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rough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statu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rvey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19960008.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19960008.jpg)
-
상세정보 조회20581
-
좋아요1
-
다운로드136
같은 분야 보고서
-
공공형 계절 근로 시범사업 성과와 과제
엄진영2023.11.30KREI 보고서 -
한우낙농 산업 경영안정 대책 연구
송우진2024.02.29KREI 보고서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2023.11.30KREI 보고서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2023.04.30KREI 보고서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2023.07.30KREI 보고서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2023.03.09KREI 보고서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2023.05.30KREI 보고서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2023.06.28KREI 보고서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2023.03.09KREI 보고서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허정회2022.11.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이전글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