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수시연구과제
기후변화에 대응한 양봉업의 화분매개가치 측정 연구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화분매개곤충 이용 현황
제3장 화분매개곤충 지원 정책
제4장 화분매개가치에 대한 평가
제5장 화분매개가치 증대를 위한 발전방안
요약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따른 이상기후가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안정적인 식량공급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또한 도시화 진행과 농약사용 증가로 자연에 존재하던 화분매개곤충이 감소한 상황에서 꿀벌 집단실종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양봉업의 화분매개가치를 재조명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양봉업의 가치는 양봉산물의 경제적 생산액에 국한되어 생각되었으며, 양봉업이 화분매개를 통해 환경과 농업생산, 자연환경에 미치는 역할과 가치에 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미흡하여 양봉업의 가치가 과소 평가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화분매개의 다양한 가치를 측정하여 양봉업이 농업에서 가지는 위상을 재정립하고, 안정적인 식량공급을 위해서는 화분매개가 필수적임을 제시함으로써 양봉업과 농업의 연계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양봉업의 화분매개가치를 제시하고, 양봉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urpose of Research
○In Korea, the value of the beekeeping industry has been assess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production value of beekeeping products. The pollination value has been excluded from the assessment, which has greatly decreased the value of the industry.
○Also, it has been difficult to secure the foundation for formulating policies for supporting the pollination sector due to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roles and value of the beekeeping industry through pollination in the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produc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highlight the value of the industry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ts pollination function by measuring its pollination value. Based on the measurement,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the beekeeping industry in agriculture,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necessary to shape policies for building a continu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ustry and agriculture.
Research Methods
○The study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alyzed statistical data, and utilized beekeeping experts’ advisory meetings and a public surve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pollinating insects and related policies at home and abroad, and investigated public opinion on the value of pollination.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060014.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060014.jpg)
-
상세정보 조회14735
-
좋아요0
-
다운로드296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 이전글
- 농촌지역 방문 진료 실태와 개선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