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2025.03.14 745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보고(R2024-15)
  • 저자
    성주인, 박형호; 권인혜; 이진; 진장익; 오형은
  • 등록일
    2025.03.14
  • 연구주제
    농촌개발및산업.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촌재생 모델 개발·적용을 위한 접근법
제3장 농촌재생 선도지역 활동 사례
제4장 선도지역의 농촌재생 성과
제5장 농촌재생 선도지역 사례의 실증 적용 방안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요약문

유럽을 비롯한 OECD 선진국에서는 국가의 발전을 위해 낙후된 농촌을 단순히 지원하는 수준을 넘어, 농촌이 보유한 환경, 경관, 문화 등의 자원을 다방면으로 활용하여 지역의 잠재력을 되살리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일본도 도시민과 관계인구의 농촌 이주와 활동을 확산시켜, 국가적 인구붕괴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고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비교해서 우리나라는 농촌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 수단을 찾고 현실에 적용한 경험이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농촌의 다양한 선도사례를 구조화·모델화하고 현장에서 실증하여 농촌재생을 확산하고자 이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다. 2년 차로 접어든 2024년 연구에서는 농촌재생 선도지역 사례에 대한 심층 조사를 통해 지역별로 도전 과제를 극복하여 성과를 창출하게 된 요인과 교훈을 살펴보고, 이러한 선도지역 사례를 다른 곳에 실증 적용하는 준비를 한다.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is part of a five-year research initiative (2023–2027) to identify and disseminate best practices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By conducting comprehensive and in-depth investigations of exemplary cases of rural revitalization,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a database that can be applied in real-world contexts to validate, propose, and promote effective strategies for rural regeneration. In the second year of the study (2024), the focus was on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of rural regeneration activities and outcomes in the eight role model regions. This effort established a robust rural regeneration database and laid the groundwork for field application studies in subsequent project phas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성주인Seong, Jooin
선임연구위원
소속: 농촌환경연구본부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성주인Seong, Jooin
선임연구위원
소속: 농촌환경연구본부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745
  • 다운로드
    65
다음글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이전글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