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노지 스마트농업 도입 타당성 검토와 분석틀 설정
제3장 노지 스마트농업 정책과 시범사업
제4장 이해관계자 수요
제5장 프로세스 분석
제6장 국내외 사례 연구
제7장 전략과 과제
요약문
이 연구는 이제 첫걸음을 뗀 노지 스마트농업의 실태를 진단하고 개선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현시점에서 노지에서 스마트농업이 필요한 이유를 기후변화, 노동인력, 소비의 관점에서 다시 짚었으며, 농가, 기업, 시범사업에 대한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데이터, 정보, 솔루션, 성과평가 및 환류로 이어지는 프로세스를 점검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노지 스마트농업’이란 말보다 ‘노지농업을 스마트하게’라는 표현이 더 적합하다는 것, 스마트농업은 ‘목적’이 아닌 ‘수단’이어야 한다는 것, 노지농업의 스마트화를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통합적·단계적·차별적·순환적 전략을 취해야 한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Purpose of Research
○Historically, smart agriculture has predominantly been influenced by the practices of factory farming. Although facility farming is relatively free from technological limitations and has fostered an advantageous environment for enhancing productivity, this singular approach is insufficient to resolve the systemic challenges confronting agriculture, including climate change and labor shortages. Specifically, the advancement of smart practices in open field agriculture, which constitutes a substantial segment of Korea’s agricultural sector, is imperative for augmenting productivity and ensuring sustainability. This study seek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e of smartization in open field horticulture and to pinpoint critical areas for enhancement, including the expansion of farmer engagement, nationwide dissemination, the bolstering of the private sector’s role, and the optimization of data usag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130072.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130072.jpg)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15
-
좋아요0
-
다운로드91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한 농업 경영 구조 전환 방향과 정책 과제
이명기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공공 R&D 성과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방안
박지연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분야 포괄보조금 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태후2024.10.30KREI 보고서 -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이정민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 이전글
-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한 농업 경영 구조 전환 방향과 정책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