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미래농업과 신성장 산업의 개념과 범위
제3장 미래농업 분야 신성장 산업 관련 정책 현황
제4장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현황과 경제효과
제5장 미래농업 분야 신성장 산업 활성화 정책과제
제6장 결론 및 요약
요약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및 이에 따른 이상기후의 빈번한 발생, 인구 고령화 및 농촌 공동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심화 등으로 안정적인 식량생산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이에 농업은 기후변화, 소비자의 소비패턴 변화, 환경오염 등의 다양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첨단기술과의 적극적인 융합을 통해 생산량 증대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시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농업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경쟁력 강화를 견인하는 분야를 농업분야 신성장 산업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드론 및 자율주행 농기계, 스마트팜으로 대변될 수 있는 스마트농업을 대표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연구는 2013년부터 우리나라 영농현장에 보급되기 시작한 스마트농업의 성과를 현재 시점에서 측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농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모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농업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드론 및 자율주행 농기계, 스마트팜의 현황과 농가 반응, 성과 등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Research Purpose
○Agriculture is actively pursuing changes in response to global and domestic factors to secure stable food production and boost competitiveness. Consequently, several agricultural models have been proposed for the future. There is a growing trend toward developing agriculture as a future-oriented industry by integrating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IT (information technology), ET (environmental technology), NT (nanotechnology), and BT (biotechnology). This shift is driving innovations aimed at transforming traditional agricultural systems, which tend to have lower productivity than other industries, rely on conventional R&D approaches, and are labor intensive. Among these transformations, industries focusing on enhancing sustainability and competitiveness in agriculture are emerging as new growth sectors. A prominent example of this new growth is smart agricultur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03
-
좋아요0
-
다운로드70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한 농업 경영 구조 전환 방향과 정책 과제
이명기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공공 R&D 성과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방안
박지연2024.10.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분야 포괄보조금 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태후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농업전망 2025 : 한국 농업·농촌, 변화를 준비한다
KREI2025.01.16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 분야 포괄보조금 제도 개선방안 연구
- 이전글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