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2025.01.21 114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보고(R2024-10)
  • 저자
    박미선, 엄진영; 심재헌
  • 등록일
    2025.01.21
  • 연구주제
    농업정책일반,농촌개발및산업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이주배경청년 규모 및 노동실태
제3장 이주배경청년 농산업 노동시장 유입가능성
제4장 국내 관련 정책 및 한계
제5장 이주배경청년의 농산업 노동시장 유입을 위한 정책과제

요약문

농업경영주뿐만 아니라 농촌지역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그에 따른 노동력의 감소로 농업법인 또한 인력확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최근 들어, 우리 농업에서 농업법인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더하여,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 확대라는 정책 기조하에 향후 농업법인의 역할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노동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그간 농가의 임금근로자 부족 문제에 가려 농산업체 임금근로자 부족 문제는 상대적으로 정책적인 측면에서 주된 관심사가 아니었다.

이 연구는 청년농업인 및 농산업체 임금근로자 확보에 기여하고, 농업의 지속성을 제고하기 위해 이주배경청년(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청년, 결혼이민여성, 외국인 유학생)의 농산업 노동시장 유입가능성을 탐색하고,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youth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married migrant women, and international students entering the agricultural labor market from the supply and demand perspectives and to derive policy tasks for an inflow of these three groups into this market. This work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securing a supply of young farmers and wage workers to the agricultural sector and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of agricultur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박미선Park, Misun
부연구위원
소속: 신산업인력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박미선Park, Misun
부연구위원
소속: 신산업인력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114
  • 다운로드
    32
다음글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이전글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