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2025.01.20 122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보고(R2024-05)
  • 저자
    김종진, 남경수; 김두휘
  • 등록일
    2025.01.20
  • 연구주제
    농업정책일반,농업생산유통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식품 GVC 변화 추이와 특징
제3장 농식품 GVC 위험 요인 분석
제4장 농식품 수입 위험관리 품목 분류
제5장 농식품 수입 위험관리 정책
제6장 농식품 수입 위험 대응 방안

요약문

우리나라는 농식품의 해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국가로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노출도가 높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에 대응한 체계 구축이 시급하고 중요한 상황이다.

본연구는 이러한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에 내재된 위험을 파악하고 이의 국내 영향 경로·정도 분석을 바탕으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구조와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산업연관분석 등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영향 경로 및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러한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 수단들의 장단점 및 특성을 문헌 연구, 전문가 및 업계 조사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of Research
○ With the advent of the WTO system following the conclusion of the Uruguay Round negotiations in the mid-1990s, the agro-food industry experienced a strengthened international division of tasks based on efficiency, resulting in the expansion of the agro-food global value chain (GVC). However, recent spikes in international food prices and global supply chain crises have raised concerns about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 expanding agro-food GVCs. In South Korea, WTO membership and numerous Free Trade Agreements (FTAs) have accelerated the opening of the agro-food sector, increasing imports of grains, meat, and fruits while boosting exports of certain 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thus heightening dependency on foreign agro-food sources. The expansion of agro-food GVCs has become a significant factor in the increased volatility of domestic agro-food supplies and pric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김종진Kim, Jongjin
선임연구위원
소속: FTA이행지원센터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종진Kim, Jongjin
선임연구위원
소속: FTA이행지원센터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122
  • 다운로드
    33
다음글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이전글
농업전망 2025 : 한국 농업·농촌, 변화를 준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