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식량정책 개선방안 연구

2024.05.30 15009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보고(R999)
  • 저자
    승준호, 이동소; 임혜진; 김현정
  • 등록일
    2024.05.30
  • 연구주제
    농업정책일반.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식량안보의 개념과 정책 현황
제3장 식량안보 실태 분석
제4장 식량안보 정책의 성과와 한계점
제5장 식량정책 개선방안

요약문

공익직불제 도입 등 최근의 국내 식량정책과 국제 시장 여건 변화를 반영한 식량 수급 및 식량안보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식량정책의 개선 방향 제시가 필요한 시점임.

이 연구는 쌀 수급 불균형을 완화하면서도 쌀을 제외한 주요 곡물의 자급률을 높이고, 국제 곡물 수급 여건 악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식량안보 강화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추진되었음.
이를 위해 식량안보에 대한 정의와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추진 중인 주요 식량안보 정책 가운데 개선이 시급한 분야를 설정하여 해당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음.

Purpose of Research
○South Korea is experiencing a surplus of rice, while the self- sufficiency rates for major grains such as wheat, corn, and soybeans are significantly low. At the same time, the international grain market is facing uncertainties due to climate change and other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surrounding food security through quantified indicators and derive strategies to enhance food security. These strategies aim to alleviate domestic rice surplus issues while increasing self-sufficiency rates of major grains other than rice and to address international grain market fluctuations efficiently. Specifically, this study sets out to define food security, analyze the current status, identify areas in major food security policies that require urgent improvement, assess policy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승준호Seung, Junho
부연구위원
소속: 곡물경제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승준호Seung, Junho
부연구위원
소속: 곡물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15009
  • 다운로드
    1463
다음글
연차보고서 2023
이전글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