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 Rice Seed Value Chain Analysis by Countries
Chapter 1 Ghana
Chapter 2 The Gambia
Chapter 3 Senegal
Chapter 4 Uganda
Chapter 5 Cameroon
Chapter 6 Kenya
Chapter 7 Guinea
요약문
1. 본 자료집은 아프리카 라이스벨트 사업 수혜국의 국별 벼종자 가치사슬 및 보급체계 조사를 위하여 해당 7개국(가나, 감비아, 기니, 우간다, 세네갈, 카메룬, 케냐)의 연구자들에게 위탁연구를 요청한 후 수령한 내용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2. 본 자료집은 연구대상 국가의 식량안보강화를 위해 농식품부에서 추진하는 한국형 라이스벨트사업의 효과적인 추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본 자료집은 발간과 동시에 우리 연구원(www.krei.re.kr)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This source book is a summary of the contents which are received after requesting commissioned research from researchers in the seven countries (Ghana, Gambia, Guinea, Uganda, Senegal, Cameroon, and Kenya). The commission was given to investigate the rice seed value chain and distribution system of each country of the Africa Rice Belt Project beneficiary countries.
2. This source book aims to present an effective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K-Rice Belt Project promo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o strengthen food security in the target countries.
3. This source book will also be available through our research institute (www.krei.re.kr) website upon publication.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120061.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120061.jpg)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2093
-
좋아요0
-
다운로드37
같은 분야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남경수2023.11.30KREI 보고서 -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이현근2023.11.30KREI 보고서
- 다음글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 이전글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