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2024.03.28 16842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보고(R995)
  • 저자
    정학균, 안현진; 채광석; 임영아; 임준혁; 박형호; 김창길; 심창섭; 이요한; 조현경
  • 등록일
    2024.03.28
  • 연구주제
    농업자원환경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미세먼지의 기준 및 농업부문 발생 현황과 특성
제3장 농림업 부문 미세먼지 관련 정책 추진 현황과 진단
제4장 미세먼지 저감농림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제5장 미세먼지 저감농림업 정책대상자 수용성 분석
제6장 주요국의 미세먼지 저감농림업 사례

요약문

이 연구는 3년차 과제의 마지막 년도 연구로 ‘농림업부문 미세먼지 저감 농업기술 이용 활성화 방안’을 다루었음.

우선 농업·농촌 분야의 미세먼지 배출현황을 진단하고 미세먼지 관련 정책을 살펴봄. 비용효과성 분석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농업의 경제·환경적 편익을 산출하고, 패널 모형을 통해 도시림의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경제적 편익을 산정함. 또한 CVM 분석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농업의 지불의향가격을 추정함. 그리고 농업인의 미세먼지 저감 농업기술 수용성을 조사·분석하고, 마지막으로 미세먼지 저감농림업 기술 이용 활성화방안을 제시함.

Purpose of Research
○Following the movement toward a global green economy, the Yoon Seok-ryeol government presented “ transformation to a green economy by preparing a scientific carbon neutral implementation plan” as a national task. Our agriculture and forestry industry has been experiencing an increased burden on the environment, including worsening soil and water quality and air quality, due to excessive use of input materials and intensive livestock farming. In addition, the incom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between rich and poor farmers is wide, and the aging of the labor force has worsen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oster green technologies in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sector, such as low-carbon agriculture, eco-friendly agriculture, and fine dust reduction agriculture, and promote their us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정학균Jeong, Hakkyun
선임연구위원
소속: 거시농정연구본부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정학균Jeong, Hakkyun
선임연구위원
소속: 거시농정연구본부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16842
  • 다운로드
    114
다음글
농식품 공급망에서의 물가 결정요인 분석 연구
이전글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