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구제역·ASF 발생 현황 및 영향 분석
제3장 한육우·젖소·돼지 사육 밀집도 및 농가 설문조사 분석
제4장 국내 구제역·ASF 방역체계와 정책 과제
제5장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 양성률·ASF 발병 요인 분석
제6장 외국의 구제역·ASF 방역체계와 시사점
제7장 데이터 기반 구제역·ASF 효율적 대응 방안
요약문
이 연구는 2년에 걸쳐,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발생 및 확산 위험 분석을 기반으로 가축전염병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역체계 개선방안 마련에 초점을 두었음.
1차년도에는 고병원성 AI, 2차년도에는 FMD와 ASF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음. FMD 및 ASF의 발생 현황과 영향 분석, 한육우·젖소, 돼지, 염소 등 우제류 사육 밀집도와 한육우·젖소, 돼지사육 농가 대상 설문조사 분석, 국내 가축전염병의 방역체계와 개선 과제 도출, 구제역 백신 항체양성률 요인 분석,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확률 및 요인 분석 등을 통해 데이터에 기반한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였음.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livestock epidemic control system. Through data-based analysis, the outbreak of livestock infectious diseases, patterns of disease spread, and antibody positivity rates were examined. The first-year study focused on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while the second-year study (this project) targeted Foot-and-Mouth Disease (FMD) and African Swine Fever (ASF).
Research Method
❍To develop improvement measures for epidemic prevention systems against FMD and ASF through data-based analysis, the research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steps: ①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were conducted to gather information on the outbreak and response to FMD and ASF, lea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critical issues within the prevention system. ② Policy analysis and improvement tasks. Domestic FMD and ASF prevention policies wer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rive actionable improvement tasks. ③ GIS-based analysis of livestock density and ASF outbreaks. GIS program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ensity of livestock farms and identify spatial patterns of ASF outbreaks in swine farms. ④ Farm surveys. Surveys were conducted in livestock farm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gather valuable insights and opinions from stakeholders. ⑤ Data-based analysis of vaccine antibody positivity rates and ASF outbreak risks. In collaboration with research institutes, which are KIET and CNU, data analysis models were employed to assess FMD vaccine antibody positivity rates and evaluate ASF outbreak risks. ⑥ International case studies. International cases were explor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ccurrence and prevention systems of FMD and ASF. ⑦ Data-based response measures: Based on the comprehensive data analysis, efficient response measures for FMD and ASF were formulated.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010035.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010035.jpg)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2791
-
좋아요0
-
다운로드175
같은 분야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수요자 중심 지역 농업 R&D 개선 과제
이정민2023.10.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이용건2023.10.30KREI 보고서 -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정학균2023.12.20KREI 보고서
- 다음글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 (1/5차년도)
- 이전글
- 농식품 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