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촌 주민의 만성질환 및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
제3장 예방적 건강관리 서비스 정책 현황 및 문제점
제4장 국내외 예방적 건강관리 정책 사례와 시사점
제5장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정책의 방향과 과제
요약문
보건의료 정책이 ‘발병 후 치료’에서 ‘예방적 건강관리’ 쪽으로 무게중심을 조금씩 이동 중임.
예방적 건강관리가 활성화된다면, 특히 만성질환 치료에 대한 수요와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주민 삶의 질을 나아지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임.
그러나 예방적 건강관리 정책 역시 농촌에서는 인구 감소 및 고령화라는 견고한 벽이 존재하며, 농촌을 배경으로 예방적 건강관리 정책을 논의한 자료가 드문 게 현실임.
이 연구에서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관절병증 등 대표적인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농촌 주민의 유병률 실태를 정리하여 제시하였음.
Purpose of Research
○With the aging population and westernization of lifestyles,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s increasing. It is predict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over 65 will increase, leading to a rise in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and heart disease.
○The causes of chronic diseases are not only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unhealthy behavior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lack of exercis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healthcare, including lifestyle changes, is becoming more highlighted. Health and medical policies are shifting from focusing on disease detection and post-treatment to supporting preventive healthcare. However, in rural areas, despite the higher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compared to urban areas, the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care is insufficient. Additionally, accessibility to healthcare services in rural areas is poor, 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edical services are inferior compared to urban area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policies related to preventive healthcare for rural resident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6670
-
좋아요0
-
다운로드158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생계안정비용 지원기준 개선방안 연구
이용건2024.12.31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 미래 비전 구상 연구
- 이전글
- 수요자 중심 지역 농업 R&D 개선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