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지역기반 농촌산업 고도화 전략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 연구 및 관련 정책의 주요 내용
제3장 농촌산업의 고도화 실태
제4장 지역기반 농촌산업 고도화 사례
제5장 지역기반 농촌산업 고도화의 주요 방향과 정책 과제
요약문
농촌산업의 양적 확대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지만, 현시점에서 볼 때 질적인 성장, 그리고 중·장기적인 발전 방향의 모색 등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음.
본 연구는 농촌산업의 질적인 성장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중·장기적인 변화를 ‘농촌산업 고도화’로 규정함. 그리고 농촌산업의 경우 대부분 각 지역의 농업·농촌 자원을 활용하여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지역 기반’의 산업을 형성하기에 본 연구는 지역 기반의 농촌산업의 질적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향 또는 전략과 이에 필요한 정책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defines the qualitative growth of rural industries and the medium to long-term changes based on it as “advanced rural industry development.” As rural industries mostly form “region-based” industries that produce goods and services using agricultural and rural resources of each region,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s of qualitative changes in region-based rural industries to deriv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or strategies and necessary policy tasks.
○First, the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rural industries and reviews existing discussions related to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rural industries. Second, it examin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dvancement and compares the main content and limitations of past rural industry promotion policies. Third, the current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industries and the status of their advancement are analyzed using key data. Fourth, it review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regional rural industries to analyze the progress and problems of advancement in rural areas. Fifth, it presents directions and policy tasks for the advancement of region-based rural industri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6147
-
좋아요0
-
다운로드297
같은 분야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 (1/5차년도)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2022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2.12.30KREI 보고서 -
농촌 청년 연구자문단 면담 조사 결과
마상진2022.12.30KREI 보고서 -
청년의 생활실태와 요구 조사 결과
마상진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수요자 중심 지역 농업 R&D 개선 과제
- 이전글
- 농촌여성의 일자리 실태와 정책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