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2024.01.03
16590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CGE 모형의 특징과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제3장 한국 농업 특화 CGE 모형 구조
제4장 한국 농업 특화 SAM 구성과 특징
제5장 모의 시나리오 분석
요약문
본 연구는 다양한 경제 환경 변화와 농업 정책이 농업과 국가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경제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농업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한국 농업 특화 1국가 정태 CGE(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농업 경제 분석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 농업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생산요소인 노동을 고용 노동과 자가 노동으로 구분하였고, 농업 부문에 토지를 생산요소로 포함하였다. 또한, 가계 부문을 농가와 비농가로 구분하고, 농축산업과 전후방 관련 산업을 최대한 세분화함으로써 분석 결과의 유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저자정보

이명기
선임연구위원
소속: 농업재정금융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이명기
선임연구위원
소속: 농업재정금융연구실
-
상세정보 조회16590
-
좋아요0
-
다운로드249
같은 분야 보고서
-
농촌 지역경제의 실태와 정책 방안
김광선2024.12.31KREI 보고서 -
2024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 정주 만족도 조사
최현우2024.12.30KREI 보고서 -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운용 현황과 제도 개선방안
김태후2025.01.30KREI 보고서 -
식품수급표 2023
박성진2024.12.30KREI 보고서 -
농어촌 영향평가: 농어촌 유휴시설 활용 지역 활성화
신병욱2024.12.30KREI 보고서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농업관측 고도화 방안 연구 - 항공촬영 및 실측조사를 중심으로
김원태2024.12.30KREI 보고서 -
농식품 공급망 성과 측정과 과제
한정훈2025.01.30KREI 보고서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연차보고서
KREI2024.12.30KREI 보고서 -
한국 농업의 구조 변화와 중장기 정책 과제 연구
이명기2025.03.30KREI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지역농림업 발전사업 추진방안 연구
- 이전글
- 2023년 규제비용관리제에 따른 신설·강화 규제 및 상쇄과제 비용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