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현황
제3장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현황
제4장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유형 및 실태
제5장 온라인 플랫폼 농산물 물류의 경제 효과 분석
제6장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물류 효율화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4차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인한 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농산물 유통도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거래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농산물 유통구조에서 온라인 플랫폼 기반으로 거래하는 유통구조로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유통 개념, 새로운 형태의 유통 업태, 신유통시대에는 상품 경쟁력보다 물류산업에서의 경쟁력이 유통시장에서 성패를 좌우할 정도로 물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총 3개년에 걸쳐 수행되며, 본 보고서는 2차년도로 온라인 플랫폼 기반 농산물 물류 효율화 방안에 대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1차년도(2021년)에는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마지막 3차년도(2023년)에는 농산물 유통의 온-오프라인 채널의 미래를 전망하고 농산물 유통정책 제언과 발전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ree-year-long COVID-19 pandemic, consumers have come to prefer non-face-to-face purchase, which has led to a rapid increase in online transactions. In the supply sector, such as agrifood corporations, integrated marketing organizations, cooperatives, etc., their sales to online platform businesses are increasing, and such trend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Logistics is infrastructure for facilitating commercial distribution. Agrifood distribution requires a logistics system suit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online operation and digitalization. In the era where a new concept of distribution, new forms of distribution businesses, and new methods of distribution are prevalent, logistic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the extent that the success in the distribution market relies on competitiveness in logistics rather than on product competitiveness amidst the expansion of the demand for more rapid, personalized logistics services.
○As for agricultural products, there are grains such as rice that can be stored and transported at normal temperature. Still, most of the products require a consistent cold-chain system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storage, loading and offloading, and transportation. Currently, the way of handling agricultural products is much behind that of handling industrial products, due to the lack of facilities, equipment, and relevant skills associated with adequate storage and transportation.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production areas and through wholesale remains backward in terms of transportation vehicles/equipment, logistics facilities, and a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e logistics connection is weak among the places of production and the wholesale and retail stages, with redundant cost and inefficiency. Product standardization has a long way to go due to problems in classification and packing standards, etc. and it poses a stumbling block in the expansion of online transactions. There are also other problems like sticking to traditional practices of transportation in different regions and systematic problems like VAT. Online transactions are small in size and are scattered, acting as a factor burdening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Such problems require more detailed survey and analysis to come up with ways for more efficient operation of logistic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000054.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000054.jpg)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5757
-
좋아요2
-
다운로드1209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국승용2022.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지역 단위 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 연구
- 이전글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