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식생활 변화 대응 장류 산업 발전 방안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장(醬)의 위상과 식생활 변화
제3장 국내외 장류 산업 동향과 주요 정책
제4장 장류 제조 실태와 문제점
제5장 소비자 장류 소비 행태와 구매요인
제6장 외식·급식시설 장류 조달·구매요인 분석
제7장 장류 산업 발전 방안
요약문
장류는 우리 식생활에서 이용하지 않는 음식이 없을 정도로 우리 음식문화에 깊이 뿌리 내렸고, 음식의 맛을 좌우하고 있으며, 원재료가 가지지 못하는 맛과 향을 부여하는 조미의 근간으로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전통 식품이다. 또한, 전 세계적인 한류 문화의 확산과 발효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류 수출도 증가하고 있으며, 소스 산업 성장에 따른 소재로서 장류의 경제적·산업적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장류 산업의 구조적 영세성, 사회인구 구조 변화, 식생활 변화, 저염 트렌드에 따른 장류 섭취량의 감소 등 장류 산업이 내·외부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이 장류 산업의 현재와 발전적 미래 구상을 어렵게 하고 있다. 장류를 통해 형성되어 온 우리의 식문화를 계승하고, 경제적·산업적 측면에서의 장류 산업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장류 산업의 발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간 장류 산업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식생활 변화에 따른 장류 산업이 내·외부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문제와 원재료의 생산·조달, 제품 제조, 유통·판매, 소비 등 전 단계에서 장류 산업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는 장류 관련 식생활 변화를 살펴보고, 장류 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내·외부적 여건과 환경 변화는 물론 단계별·부문별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류 산업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Jang (Fermented soybean sauce) is an important traditional food as the basis of seasoning that provides taste and flavor in Korean diets and as a source of protein and fermented material. Recently, jang consumption has been decreased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s’ dietary life, including consumption through eating out or delivery food, and consumption of products with sauce or convenience products.
○As the jang industry mostly consists of small businesses, the industry has limitations in respon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such as health, low salt, social demographic changes, and demands for hygiene and safety. Additionally, the profitability of small businesses is deteriorating due to the instability of supply and demand for domestic soybeans, the main raw material of jang, and the policy of imported soybeans.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revitalize the jang industry considering these dietary changes and the problem of raw material procurement.
○The domestic jang market is declining or stagnating due to slowing consumption of jang, while the interest in fermented foods is increasing worldwide as consumers’ interest in health and immunity is growing. Also, the amount of production and sales of jang increased in 2020 as the ‘Stay at Home Challenge’ became popular with generation MZ.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changing market 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jang industry, and transform it into a competitive industry by not only expanding its existing market but also creating new demand.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050027.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050027.jpg)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9862
-
좋아요0
-
다운로드441
같은 분야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채식 식품산업의 실태와 성장산업화 전략
박기환2024.10.30KREI 보고서 -
2023 농소모 활동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 트렌드 모니터)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2023 식품소비행태조사 통계보고서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2023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식품수급표 2022
홍연아2023.12.30KREI 보고서 -
식품수급표 2021
홍연아2022.12.30KREI 보고서 -
2022 식품소비행태조사 통계보고서
이계임2022.12.30KREI 보고서 -
2022 농소모 활동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트렌드 모니터)
이계임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 이전글
- 확률적 농업정책분석 모형 개발 및 운용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