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바이오소재산업과 바이오소재농업 현황
제3장 바이오소재산업의 바이오소재농업 파급효과
제4장 바이오소재농업 성장을 위한 요구 분석
제5장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요약문
바이오소재 농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이오 산업, 바이오 소재 산업, 그린 바이오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바이오소재산업과 농업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농업 분야도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다는 이미지 변화가 필요한 시기이다.
바이오 소재 산업의 성장과 함께 농업에 대한 새로운 시장수요가 창출되면서 바이오소재용 농산물의 생산량 확대가 가능하며, 고부가가치 농산물 생산으로의 전환도 기대할 수 있다. 바이오소재산업의 발달로 농축산물에 대한 기존의 수요와 다른 차원의 새로운 수요가 창출될 수 있기에 공급과잉에 따른 농산물의 가격 급변 방지와 농가소득의 안정적인 보전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농업의 새로운 활로 모색을 위해 바이오산업과 연계된 바이오소재농업의 활성화 방안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바이오소재농업의 전반적인 현황과 세부적인 사항을 살펴보기 위해 대표 품목인 약용작물(인삼과 차 포함)과 산업용 곤충(애완용과 축제용 곤충 제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바이오소재산업 활성화를 위해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산업현황 및 실태파악을 위해 통계자료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산업체, 정책담당자, 학계 등 관련 전문가와 농업인들과 면접과 설문조사를 병행하고 현장확인 등의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 The fin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thods for promoting biomaterial agriculture connected with the bioindustry in order to vitalize agriculture. For this, first, the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biomaterial industry at home and abroad and the present state of domestic biomaterial agriculture linked to the industry. Second, the study analyzes the ripple effect of the growth of the bioindustry on biomaterial agriculture, and third, examines support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biomaterial agriculture. Fourth, the study identifies requirements for the growth of biomaterial agriculture, and finally draws methods for fostering the sector.
Research Methods
○ The main target of this study is “biomaterial agriculture,” the agricultural sector that produces raw materials used for biomaterials. To analyze this sector, we focused on examining medicinal crops (including ginseng and tea) and industrial insects (with those for pets and for festivals excluded) most closely linked to the sector.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 two items are as follows. First, medicinal crops and industrial insects are the most produced agricultural items that can be used for biomaterials, which enables a farm household survey. Second, the two items’ close link with enterprises due to high demand for biomaterials enables an enterprise survey. Thir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resent situation and analyze ripple effects by collecting related statistic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7335
-
좋아요1
-
다운로드926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에 대한 2022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 이전글
- 삶의 질 향상 정책 사전협의제도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심층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