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관련 제도 및 정책 동향과 정책 요구
제3장 주요 활동 분야별 관련 정책 사례와 시사점
제4장 지원 영역별 농촌 사회적 경제 정책 과제
제5장 결론
요약문
농촌에서 사회적 경제 실천은 시장 실패와 정부 실패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여러 방면의 난경을 극복하려는 주민들의 자조(自助) 움직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농촌 주민 스스로 협동과 연대의 가치를 내세우며 등장한 사회적 경제 실천은 돌봄, 교육, 환경, 일상생활에 필요한 재화 및 서비스 공급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주민의 자율적이고 집합적인 실천이지만, 각 분야마다 관련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이 효과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놓칠 수 없다.
여러 분야의 정책이 농촌 주민의 사회적 경제와 접합되기 시작한 지 10여 년이다. 정부의 어떤 정책들은 그 실행 과정에서 사회적 경제를 추구하는 농촌 주민들의 의지와 실천을 수용하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 아예 농촌에서 사회적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 그 자체를 목표로 삼아 기획되고 실행되는 정책도 등장했다.
이 보고서는 사회적 경제라는 전망하에서 여러 부문의 정부 정책을 논의하고 있다. 정책사업 시행지침 등의 규정뿐만 아니라 정책이 실행되는 현장에서 제기되는 요구를 광범위하게 검토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With the emphasis on inclusive growth and social innovation, the social econom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eans to respond to many agendas in rural communities, but the current related policies and systems do not seem to be sufficient. It is true that policies to help rural residents' social economy have increased, but no comprehensive and mid- to long-term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has been established.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social economy-related rural policies at the level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llowing the 2021 study that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operation status and the good practice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pare a mid- to long-term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to spread and establish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that will promote inclusive growth and social innovation in rural areas.
Research Method
○We reviewed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social economy such as major legal plans established by central government ministries, policy program presentation documents, policy project implementation guidelines, and related ordinances of local governments. As legal plans, Basic Plans for Cooperatives and Basic Plans for Fostering Social Enterprises were examined. The main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related to the social economy were village enterprise development projects, self-support projects,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revitalization plan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20), guidelines for various policy projects, and social economy ordinances and financial input.
○The related policies and social economy practices in the fields such as care, basic living services, nested markets of agricultural products, education, the environment, and social farming were analyzed. Guidelines for implementing the policies or related regulations were reviewed.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olicy needs based on the experience of workers in rural social economy-related organizations and to know the structure of social economy network organizations at the city and county level and the contents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activiti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060002.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060002.jpg)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8384
-
좋아요0
-
다운로드391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농촌 노인 맞춤 복지를 위한 사회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김수린2023.10.30KREI 보고서 -
2023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농촌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의 이야기
KREI2023.12.26KREI 보고서 -
농어촌서비스기준 개선 방안 연구
심재헌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행복한 삶의 출발: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농어촌 만들기
- 이전글
- 농축산물 가격 변동에 대응한 효율적인 위험관리 수단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