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주요국 저탄소농업 정책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EU의 저탄소농업 정책
제3장 미국의 저탄소농업 정책
제4장 일본의 저탄소농업 정책
제5장 결론
요약문
이 보고서는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 가운데 ‘주요국의 저탄소 농업 정책’을 다룬 연구 부속물이다. 여기서는 EU, 미국, 일본의 저탄소농업 기술들을 주로 경종분야와 축산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상세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저탄소농업 기술을 농가 단위로 보급하기 위한 정책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결과를 기초로 우리나라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 The agricultural sector should be in a step toward the effort for the green economy to complete carbon-neutral obligations, overcome environmental challenges and secure growth engines. For a successful shift to the green economy, agriculture needs reasonable reduction target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policy programs to achieve the targets.
○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technologies and polici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of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EU,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use of green technology in Korean agriculture based on the cases of major countries.
Research Method
○ This study reviews and analyzes studies related to green economy and green technology conducted by relevant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in EU, the United States and Japan.
Main Findings
○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amples of major countries'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ies, the EU continues to expand support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AP to be implemented in 2023-2027, it was planned to support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direct payment system through payment for enhanced conditionality, ecological system, and agro-environment-climate responsibility.
○ The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provides information at the government level to help producers better understand the financial incentives needed to adopt greenhouse gas mitigation technologies. In addition, they are planning to support greenhouse gas reduction by strengthening the CRP (Conservation Reserve Program) and the CSP(Conservation Stewardship Program).
○ In relation to the issu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Japan has specifically presented a strategy and road-map for the continuation and growth of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ctor, rather than the contraction of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ctor.
Policy Suggestions
○ As an example of a major country, Korea is also supporting economic incentives by actively utilizing existing policies and project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ies.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to producers and establish specific mid- to long-term strategies and action plans and systematically promote them.
Researchers: Jeong Hakkyun, Lee Yonggeon, Jeong Seonhwa
Research period: 2021. 1. ∼ 2021. 12.
E-mail address: hak8247@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7181
-
좋아요2
-
다운로드1344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정책보험 위험관리 고도화 연구
- 이전글
-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식품제조업 분야 실태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