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과제(2/3차년도)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외식산업 현황과 당면 이슈
제3장 외식산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과제
제4장 사회/환경과 공생하는 외식산업의 과제
제5장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외식산업 분야 대응과제
요약문
외식산업은 국내 및 지역 농업과 긴밀하게 연관되며, 소비자와의 접점이 매우 광범위하다.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언급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농축산업 생산활동인데, 외식산업은 농축산업 생산물(식재료)의 최대 수요자이다. 먹거리와 관련한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할 때 1차 산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중간다리로서 매우 다양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외식산업이기 때문에, 지속가능성이라는 관점으로 산업과 시장의 실태를 점검함으로써 미래 지향적인 대응과제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3개년 연구로 추진하고 있는 이 연구는 외식산업 분야를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 프리즘’을 통과하여 바라보고 점검·평가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대응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년 차 연구에서는 식품제조업 분야를 다루었고, 올해 2년 차 연구에서는 외식산업 분야를 다룬다. 사회 전반의 포용성을 강화하고 지속가능성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대응과제를 도출함에 있어서는 ① 외식산업의 준비된 창·폐업을 도모, ② 영업이익률을 정상화하기 위한 다양한 경영안정 방안 마련 , ③ 국내 및 지역 농업과의 연계를 통한 산업 간 포용성 강화에 기여, ④ 외식업체와 소비자가 함께하는 사회적 책임 이행 풍토 확립 등의 방향성을 견지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가 ‘외식산업진흥기본계획(2022~26)’ 수립에 활용되는 것 또한 이 연구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이다.
Chapter 1. Introduction
Background and Purpose
○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South Korea is characterized by a very high proportion of small restaurants. Small restaurants not only have limitations in leading the price determination of their meal services, but also have no choice but to accept the price of production such as food ingredient prices and labor costs as a given. And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South Korea has a low operating profit margin due to a fierce competition. As a result, the korea food service industry has high closure rates and low survival rates.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nature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which accounts for half of the nation's dietary life, it has a wide range of customer touch points, and i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erms of supporting diet for the economic vulnerable groups. In addition, as a major consumer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produced domestically and locally,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an important economic subject that can drive and embrace the growth of agriculture. In summary, the food service industry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① the high proportion of small businesses, ② low operating profit margins and survival rates, and the high rate of business closure, ③ food service industry can be connected with various ways to ensure the right to adequate food for the vulnerable groups, ④ considering that agriculture, which is a vulnerable industry,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a major consumer of agricutural and livestock products that can embrace agriculture, it is highly necessary to examine the situation and status of the industry, and to review and improve related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growth.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150096.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150096.jpg)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6772
-
좋아요1
-
다운로드536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한 농업 경영 구조 전환 방향과 정책 과제
이명기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공공 R&D 성과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방안
박지연2024.10.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분야 포괄보조금 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태후2024.10.30KREI 보고서 -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이정민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설문조사 결과 보고서
- 이전글
- 2021 발간 보고서 요약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