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2/10차년도)

2022.04.08 75020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보고(R940)
  • 저자
    송미령, 성주인; 한이철; 민경찬; 임승현
  • 등록일
    2022.04.08
  • 연구주제
    농촌개발및산업.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틀 구성
제3장 농산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
제4장 농산어촌 과소화 마을 특성과 변화 요인
제5장 관계인구 등장과 농산어촌 마을의 변화
제6장 결론

요약문

농산어촌의 지속가능성 문제를 섬세하게 진단하여 적절한 대응책을 찾는 일은 마을 단위의 미시적인 변화 실태 고찰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마을 패널 자료를 구축하여 농산어촌 변화 상황을 연속적·동태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전국 102개 마을을 농산어촌 마을을 패널로 선정하고 매년 마을의 변화를 조사한다. 또한 농산어촌에서 새롭거나 의미가 큰 변화를 포착하여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토대로 농산어촌 정책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통계조사의 한계를 보완하는 연도별 조사를 통해 정책 시사점을 얻고, 이를 통해 농산어촌 정책 수립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 An inspection into microscopic changes in villages is essential to precisely diagnose sustainability issues in rural areas and respond to them appropriately. In particular, a long-term approach based on village panel data is required to track changes continuously. Isolated studies on specific topics have fundamental limits in understanding various phenomena and their causes in rural communities. Therefore, making up for previous statistical research and accumulating grounds for policy establishment are required by monitoring changes in villages and the factors driving them based on panel data.

○ This study aims to monitor changes in villages every year by selecting representative rural communities. Also, it intends to grab new and significant changes in rural villages and suggest policy direction based on an in-depth analysis of those changes. Furthermore, it plans to gain implications through yearly research to supplement prior statistical studies and prepare grounds for rural policy setup.

Research Methodology
○ This study is a ten-year project, and 2021 is the second year. We maintained the mainframe of the first-year research but made up for it through primary panel surveys. We used the results for actual state analysis. Also, we conducted a separate study on sustainability issues by inspecting unique changes in rural areas, including depopulation and the emergence of the linked population (urban people linked to rural areas through regular visiting or residence for a certain period). We interviewed the heads of the selected 102 panel villages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visited them for observation. We surveyed residents of 23 villages and the linked population who visited those villages for our in-depth research.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송미령Song, Miryung
선임연구위원
소속: 휴직 등 기타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송미령Song, Miryung
선임연구위원
소속: 휴직 등 기타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75020
  • 다운로드
    439
다음글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
이전글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4개 국가를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