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식품 유통 및 소비단계 폐기물 감축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식품 폐기 발생 현황과 관련 정책
제3장 단계별 농식품 폐기 발생 실태와 요인
제4장 해외 농식품 폐기 감축 정책 사례
제5장 농식품 폐기 감축 대안 효과 분석
제6장 농식품 폐기 감축 실천 방향과 과제
요약문
농식품 폐기는 소비에 적합한 농식품이 수확 이후 가공·유통·소비 단계에서 부주의에 의해 혹은 의도적으로 버려지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으나, 그동안 농식품 폐기 문제에 대한 관심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처리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농식품의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단계까지 폐기물이 되지 않도록 사전에 억제하는 예방적 차원의 대응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연구는 농식품 유통·소비단계에서 발생하는 폐기 실태와 요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감축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 연구의 주목할 점은 그 간 부족했던 농식품 폐기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기존의 국내 음식물 쓰레기 감축 정책의 한계를 보완 및 개선할 수 있는 농식품 폐기 발생 예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며, 민간 주체들의 인식과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한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 1.3 billion tons of agri-food are lost or discarded every year without reaching the table. 56% of the world's agri-food loss and waste occurs in developed countries (North America, Oceania, Europe, Korea, Japan, and China). The three countries—Korea, China, and Japan— account for half (28%). Considering that the amount of agri-food waste in Korea has increased by 15.8%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the economic cost has reached KRW 20 trill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oblem of agri-food disposal in Korea is also severe.
○ Disposal of agri-food throughout the agri-food supply chain incurs economic costs and increases social and environmental burdens. In particular, agri-food waste occurs the most at the retail and consumption stages. As part of international efforts, the goal of reducing agri-food waste at the retail and consumption level was set first in the Food Loss and Disposal Index (12.3) of the UN SDGs.
○ Efforts were made to reduce domestic waste, but it was evaluated that there were no epoch-making results. Existing policies that have been promoted so far show limitations as they are limited to an ex-post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issue of agri-food waste treatment. In particular, the amount of agri-food waste generated in Korea is expected to be continuously affected by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and the retail environment. However, seeking an appropriate reduction plan to respond to these changes is a tough challenge as the causes of agri-food waste in the retail and consumption stages, the contribution by each of them, and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gulations are not traceable.
○ To suggest effective alternatives to agri-food waste reduc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agri-food waste in the retail and consumption stages.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agri-food disposal by related sectors and the behavioral factors of the subjects and analyze the economic effect and acceptance of reduction alternatives. Based on these endeavors, this study presents effective alternatives. Also, it identifies the actual conditions and factors of disposal occurring in the retail and consumption stages of agri-food and derive effective reduction measur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2812
-
좋아요0
-
다운로드1280
같은 분야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한국의 인구변동 추이와 특징 : 식품시장 파급효과의 측면
이상림2024.12.30KREI 보고서 -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분야 순환경제 이행 지표 및 환경적 효과 평가 방안 연구
주문솔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채식 식품산업의 실태와 성장산업화 전략
박기환2024.10.30KREI 보고서 -
2023 농소모 활동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 트렌드 모니터)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2023 식품소비행태조사 통계보고서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2023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식품수급표 2022
홍연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의 공익증진을 위한 선택형공익직불제 운용방향
- 이전글
-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정책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