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르완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일반 현황 및 농업 현황
제3장 농업분야 개발협력 지원 현황
제4장 개발협력 추진 전략
제5장 르완다의 주요 작물별 가치사슬 분석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업은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중 SDG 2에서 목표로 하는 ‘식량안보의 확보와 영양개선, 지속가능한 농업’, SDG 15의 ‘육상생태계의 보호, 복원 및 지속가능한 방식의 이용 증진, 사막화 방지, 토양 유실 및 생물다양성 손실 방지’ 등과 직접 연관이 있으며, SDG 12의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의 세부 목표 중 세 번째(12.3)인 ‘식량 손실과 낭비 저감’의 달성에도 기여하는 분야이다.
개발도상국은 국가 경제에서 농림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 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높은 편이어서 농촌 지역의 생활환경 개선을 통한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은 SDGs가 목표로 하는 보편적 행복 추구에 맞닿아 있다. SDGs가 목표로 하는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경제적ㆍ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인 농촌 지역의 빈곤 계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농림업 분야의 가치사슬은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과 지역, 국내와 해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 걸쳐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2020년에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는 국경간 봉쇄, 국내 이동 금지 등 물리적 연결 고리가 단절됨으로 인해 식량안보의 위기를 직접적으로 목도하기도 했다.
본 연구는 첫째, 르완다의 농업 가치사슬 단계별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분석하고, 둘째, 르완다의 농업 분야 주요 추진 정책과 문제점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 현황을 분석하여, 셋째, 양 국가간의 정책적합성을 고려하고 우리나라가 비교우위를 가진 분야와 접점을 찾아 중장기적으로 르완다에 대한 우리나라의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griculture contributes to Goal 2 (End hunger, achieve food security and improved nutrition and promote sustainable agriculture), Goal 15 (Protect, restore and promote sustainable use of terrestrial ecosystems, sustainably manage forests, combat desertification, and halt and reserve land degradation and halt biodiversity loss), and Target 12.3 (Reduction in food loss and waste) in Goal 12 (Ensure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patterns) amo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gricultur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nations’ economies. The improvement of rural livelihoods related to universal pursuits of happiness as the popul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heavily relies on rural areas relatively higher than developed countries. In order to realize the goal of “No one left behind,” SDGs is aimed at, there should be actions for the poor in rural areas most vulnerable to social and economic matters. Moreover, the value chain in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sector is intricately connected to regions, countries,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severance in the global value chain has brought about the physical disconnection, such as border closures and domestic lockdown.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riving procurement strategy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Rwanda in the mid-to-long-term by firstl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each phase of agricultural value chain in Rwanda; secondly, analyze the ODA flow of international community for resolving issues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policies of Rwanda; thirdly identify sub-sectors which Korea has comparative advantage considering the relevance of policy between Korea and Rwanda.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reviews strategies and ODA flow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Rwanda and conducts literature reviews on Rwandan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strategies. The study also identifies agricultural sub-sectors with comparative advantages and intersectional parts with the Korean ODA model. Moreover, AHP analysis is conducted to rank the priority areas of the phases of the agricultural value chain in Rwanda through an online survey that has 28 responses from the experts in Rwandan agriculture. Due to COVID-19, the field survey was not feasible. Thus, KREI conducts joint research with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GGGI),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in the rice sector, continuously increasing demand in coffee and the cash crops in Rwanda,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on the value chain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4347
-
좋아요0
-
다운로드12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우간다
- 이전글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라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