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필리핀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가 및 농업 현황
제3장 농업분야 개발협력 현황 및 수요
제4장 중점 협력 분야
제5장 개발협력 추진 전략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우리나라에서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개도국이자 동남아 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 East Asian Nations: ASEAN) 소속 국가인 필리핀은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농업의 비중이 점차 감소하는 가운데 2018년에는 GDP(Gross Domestic Product)의 9.7%가 이 부문에서 생산한 금액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인구의 53%가 농촌에 거주하고 있고, 농업은 취업자의 25.1%를 고용하는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필리핀에 대하여 여러 분야에 걸쳐 많은 원조를 시행해 왔고 여전히 전체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에서 수원 규모로 상위권에 속하고 있다. 특히 신남방정책을 통해 필리핀을 포함한 ASEAN 국가와의 협력관계를 더욱 제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필리핀에서 가장 중요한 직업으로서의 농업, 인구의 절대 다수가 거주하는 농촌의 발전을 위해 개발협력 전략을 수립하고 중점 협력분야를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 연구는 필리핀의 경제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농업과 농촌의 현황, 이 부문과 관련한 필리핀의 개발 전략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필리핀에 대한 우리나라의 농업분야 개발협력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hilippines is geographically near to Korea among ASEAN members. Although the agricultural sector takes 9.7%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 as of 2018, rural areas are home to 53% of the population, and take 25.1% of the sector’s entire employment.
○Korea has offered the nation substantial ODA supports. The “New Southern Policy,” declared in 2017, has accelerated the bilateral relations. Against this backdrop,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cooperation framework and select vital areas for successful assistance to the Philippines for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Philippines’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review its development strategies to make policy suggestions to the Korean government for its collaboration with the Philippines.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research, we explored international and local literature, statistics, and databases. Amid the COVID-19 situation, undertaking field surveys was impossible. Instead, we gained advice and information from the experts of the Philippine Science Foundation for Rice Research and Industry. We interviewed 28 international and local professionals to identify each phase’s significance in the Philippines’ agricultural value chains. We also us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analyze the data we collected.
Key Findings
○The Philippines produces rice, sugarcane, coconut, banana, maize, and pineapple. It had 19 million tons of rice on 4.8 million hectares in 2018. Although it is the 8th largest rice producer, it is the biggest rice importer simultaneously. Its entire farmland was 5.59 million hectares in 2016. The rural population was 56.62 million. And 10 million people worked for the agricultural sector in 2018.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91648
-
좋아요0
-
다운로드178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라오스
- 이전글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인도네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