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인도네시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가 및 농업 현황
제3장 농업분야 개발협력 현황
제4장 중점 협력 분야와 농업가치사슬
제5장 농림업 개발협력 추진 전략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인도네시아는 우리나라 신남방정책의 핵심 대상국이자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중점 협력국가로서 경제협력과 개발협력에 있어서 중요한 국가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많은 민간기업이 해외농업자원개발 사업계획을 신고하고 인도네시아에서 현재 활동하고 있어 인도네시아는 농식품부의 해외농업자원개발의 중점진출국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제 2차 인도네시아 국가협력전략(CPS)에는 교통, 공공행정, 환경보호, 물관리 분야가 중점 협력 분야에 포함되어 있지만 농업·농촌분야는 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인도네시아에 대한 농업분야의 체계적인 개발협력 전략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의 농림업 현황을 분석하고, 전략적 중점 협력 분야를 발굴하며, 중점 협력 분야의 가치사슬을 분석하여 인도네시아와의 개발협력을 위한 추진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public of Indonesia is a country that includes agricultural development (rural development) as one of the key areas of cooperation in Korea’s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CPS) for Indonesia and it continues cooperation projects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with the Korean government. Moreover, the Republic of Indonesia is one of the key countries that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of Korea (MAFRA) selects for overseas agricultural resources development. Four private companies from Korea reported business operation plans for overseas agricultural resources development and currently operate business in the Republic of Indonesia.
○While the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the Republic of Indonesia includes key areas such as transportation, public administration, environment protection, water resource management, the agriculture and rural sector is not included in the CPS. This has caused a poor strategy for systematic development cooperation in Indonesia’s agricultural industr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he Republic of Indonesia,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sector and the value chain of the key cooperation areas in Indonesia.
Research Methodology
○For this study, we us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Indonesian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policies. We utilized data and documents of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K-EXIM) and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o identify the flow of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Republic of Indonesia.
○As the field study for this research was not possible due to COVID-19, the KREI commissioned a research project for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and the added values of the rice sector in Indonesia to the Brawijaya University of Indonesia. The university carried out the commissioned research from July to October 2020.
○We surveyed online to collect opinions from a total of thirty-one agricultural experts on Indonesian agriculture (10 Korean experts and 21 Indonesian experts) from September 21st to October 23rd, 2020. Based on the result, we analyzed the sectoral and sub-sectoral importance of the agricultural value chain, by adopt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odel. We used the analysis outcome to establish a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development cooperation.
Key Findings
○The Republic of Indonesia produces palm oil, which accounts for 55.4% of the world’s total production. It is also a country known for the second-largest rubber production, the third-largest cacao production, and the fourth-largest coffee production. It cultivates a variety of agricultural goods. It is a producer of a massive amount of food crops, including rice and maize. Although it is the third-largest rice producer in the world, it imports a large amount of rice due to an increase in the local population and the reducing farmland.
○The Indonesi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Strategic Plan of the Indonesian Ministry of Agriculture 2020~2024 as one of the mid-term development plans. The main objectives of the plan are as follows: 1) national food security, 2) increasing competitiveness and agricultural products’ values, 3) agricultural resources’ sustainability and infrastructure’s availability, 4)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force, 5) achieving efficiency in service-oriented administration.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6901
-
좋아요0
-
다운로드14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필리핀
- 이전글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미얀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