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제당 산업 실태와 발전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 제당산업 현황
제3장 국내 제당산업 관련 이슈 분석
제4장 국외 주요국 제당산업 관련 정책
제5장 국내 제당산업 발전 방안
요약문
제당산업이 가지고 있는 산업의 중요성과 국민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국내 원당 수입과 가치사슬, 원당과 정제당을 이용하는 가공산업, 국제 원당 시장의 국내 파급 영향 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당산업의 구조 및 경쟁상황, 원당과 정제당 수입 관련 제도 등의 분석을 통하여 제당산업의 문제점을 식별하고, 제당산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격 전이의 비대칭성 현상의 검증을 위해 원당의 수입에서부터 가공단계를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가치사슬 전반을 고려하여 문제가 되는 유통단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부적으로는 국제 원당 시장과 국내 산업 여건 등의 환경을 고려한 효율적·안정적 원당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 제당산업의 시장구조 및 성과 분석과 국외 주요국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내 제당산업의 효율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s of the sugar manufacturing industry through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competition in the sugar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importing system for raw sugar and refined sugar in Korea. It also aims to derive a development plan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ugar manufacturing industry. In particular, to verify the asymmetry of price transmission this study inspects the distribution stages through the overall value chain from raw sugar imports to the consumers. Specifically speaking, this study suggests an effective measure to acquire raw sugars and finds a wa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ugar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through the market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 analysis of the sugar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case study of major overseas countries.
Research Methodology
○ We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he time series data and case studies of other countries. We also reviewed prior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sugar manufacturing industry to identify the specific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the theory of the market structure and performance analysis in economics. The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he time series data was utilized for the analysis of determinants of raw sugar import volume. The productivity analysis of the industry, inflation analysis (analysis of asymmetric price transfer), and the explanation for the estimation model were described in addition to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case study of major overseas countries, we inspected the current state of the suga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Canada with high reliance on overseas imports, like Korea, the U.S. with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national sugar market, and Australia and Thailand—main import sources for Korea’s sugar industry.
Key Findings and Implications
○ Korea imports cane raw sugar from Australia and Thailand to produce refined sugar, mainly white sugar. Korea exports the excessive volume after domestic consumption to China and Hong Kong. However, the export volume slightly decreased due to China’s recent safeguard promotion. As raw sugar and refined sugar are mainly used as food ingredients, countries apply tariffs to protect their countries’ refined sugar industry. Korea also protects its industry by imposing import tariffs on raw sugar and refined sugar. In Korea, three large sugar manufacturers lead the market. As their market shares are very high, they can be called dominant players as defined in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dditionally, it is hard for new players to enter the industr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industry. The result of the value chain analysis and inflation analysis using the input-output table for the refined sugar industry in Korea showed that raw sugar was the most input to the refined sugar industry, and refined sugar was most used as ingredients in the food and beverage manufacturing industry. The inflation analysis showed that when the import unit price of raw sugar rose, so did the prices of refined sugar, rice cake, bread, confectionery, feed, and non-alcoholic drinks. The analysis of the ripple effect using the consumer price index showed that when there was 1% increase in raw sugar’s import unit price, the sugar price increased approximately 0.50% in the long run. However, when the unit price decreased 1%, the sugar price fell by approximately 0.35%. For 1% increase or decrease in the refined sugar, the sugar price increased or decreased approximately 0.93% or 0.72%, respectively, indicating the presence of asymmetric price transfer.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6915
-
좋아요0
-
다운로드267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3/10차년도) : 지자체의 농업정보지원시스템 활용 실태와 정비 방안
- 이전글
- 친환경농자재 산업 실태와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