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3/10차년도) : 지자체의 농업정보지원시스템 활용 실태와 정비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지방농정 여건 변화와 농업정보시스템의 역할
제3장 지자체의 정보·시스템 이용 실태와 과제
제4장 지자체 농업정보 이용 실태조사 분석
제5장 주요국 농정지원시스템 사례와 시사점
제6장 지자체 농업정보지원시스템 정비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지방분권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방농정에서 지자체의 권한과 책임이 확대되고 있어서 지역농업 특성에 맞는 농업 정책 발굴과 시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데이터 기반의 합리적 정책 결정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초지자체에서 농업발전계획 수립(정책 수립 단계) 및 보조사업 관리(정책 시행 단계)를 위해 활용하고 있는 통계정보와 정보시스템 이용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와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정비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decentralization of government progressed, local governments have had expanded their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It requests the implementation of agriculture policy to be adjusted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at respect, it is necessary to make reasonable policy decisions based on data. This research analyzes the utilization of the statistics and information systems that local governments use for the agriculture development plan and the management of grant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improvement point of the current information support systems of agriculture policies and grant programs for the advancement of agricultural and rural policies.
Research Methodology
○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the statistics of the agricultural sector, we reviewed prior literature and conducted a survey for local officials, and studied cases to analyze the gran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uilt and employed by local governments. helped by external specialists, this research analyzed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us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bases related to farmland 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atabases. With regional experts in the U.K. and U.S., we investigated their agricultural information support system. At the conceptual design part, we presented a plan for the integration of agricultural statistics and information support system. Lastly, there is an index analysis for some of the agricultural statistics that respond which are responded to be necessary but difficult to access by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our survey.
Key Findings
○This study on the plan for a developed information support system for agricultural policies suggested the basic design and planning to alleviate the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real condition analysis of information support systems for agricultural policies.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covered the application condition of the utilization of statistics on the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pla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formation system for grant management, and the utilization condition of the farm manager database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agricultural land.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difficulties in the usage of statistics and information systems for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policies.
○The basic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gricultural statistics and information support system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olicy, the agricultural information support systems should be maintained to establish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plans objectively and rationally. Second, in terms of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check and overhaul the current information support systems in the views of systematization, standardization, and efficiency. Third, in terms of economic and social aspects, information support systems for agriculture should be upgraded for local officials in the agricultural sector to make policies depending on their exterior conditions.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tutory platform by reorganizing related law and system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information support system related to farmland, farmland-related information should be systematized and an on-site inspection system should be maintained. Concerning the farm manager database,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pen data service, the expansion of utilization services, and the actualization of registration information are suggested. For the maintenance plan of the grant management system, th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s are suggested for the systems for national grant programs and local subsidy programs, as the central government gives positive participation to the integration. It is also a requisite that a basic law or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information feedback between existing systems such as AgriX and local information support systems. Lastly, we suggested a conceptual design for the maintenance of the current systems to strengthen the application of the various support system and databases for local governments.
Researchers: Park Joonkee, Kim Hyunjoong, Im Junhyeok, Kim Nari
Research period: 2020. 1. ~ 2020. 12.
E-mail address: jk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8028
-
좋아요0
-
다운로드26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1/10차년도)
- 이전글
- 제당 산업 실태와 발전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