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1/5차년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남북 농업 부문 현황 및 상호보완적 발전 전망
제3장 남북 경제통합 구상과 농업 부문의 역할
제4장 남북 농업통합 추진 방향과 과제
제5장 남북 농업통합의 경제적 효과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요약문
우리 정부는 그동안 경제적으로 남북이 공동체를 형성하는 남북 경제통합에 대한 구상을 여러 차례 밝혀왔다. 문재인 정부도 국정과제의 하나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및 경제통일 구현’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독일 통일의 경험을 통해 통일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점진적인 경제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남북 경제통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남북 경제통합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농업 부문에서도 준비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 수요에 따라 남북 경제통합 논의를 농업 부문과 연계하는 첫 시도이다. 남북이 경제협력을 확대하면서 점진적으로 경제통합을 추진하는 상황을 전제로 농업 부문에서 예상되는 과제를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 궁극적으로 한반도 농업통합의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남북이 현 상황에서 출발해 통합을 추진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는 장기의 시간이 필요하고 통합의 단계별로 점검해야 할 과제들도 상이하다는 점에서 5개년에 걸친 장기 과제로 기획하였다.
올해 수행한 1년차 연구는 전체 연구의 총론 부분에 해당한다. 향후 2~5년차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는 차원에서 남북 경제통합 시나리오와 이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농업통합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 부문의 통합 추진 방향과 통합 단계별 통합 과제를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planned as a five-year research project, is a long-term roadmap for agricultural integ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situation in which North and South Korea are promoting economic integration. First, the first-year research corresponds to the general topic of the entire five-year study. The primary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the economic integration scenario of North and South Korea, which is the upper concept of agricultural integration, and the agricultural integration scenario corresponding to this scenario,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ion of the agricultural sector according to the scenario and the integration task for each step. Next, the 2~4 year research corresponds to the topic of a specialized study. The main purpose is to more concretely set the situation at each stage of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South-North Korean agricultural integration scenario set in the first year and present a plan for implementing the agricultural sector integration project presented at each stage. The fifth-year research’s purpose is to present a long-term roadmap for the integration of the agricultural sector on the Korean peninsula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research from the first to fourth years.
Research Methodology
We reviewed prior literature and analyzed research papers commissioned for this study. Commissioned studies were about the prior economic integration cases (the E.U., the E.U.-Middle Eastern Europe, the Reunified Germany) and economic system implementation cases (Vietnam and Hungary), changes in the legal system in North Korea's agricultural sector, and marketization. In addition, a commissioned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agricultural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is the first attempt in this study. Next, a survey on expert was also used as an important research method. It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experts on North Korean economy, experts on North Korean agriculture, and South Korean agricultural experts. Opinions were collected on the scenario of inter-Korean economic integration, the scenario of implementing the North Korean economic system, the scenario of inter-Korean agricultural integration and its issues, the direction to promote inter-Korean agricultural integration, and the tasks for each step.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Researchers: Jeon Hyoungjin, Kim Younghoon, Choi Yongho, Hong Choun, Lee Seula, Han Seokho
Research period: 2020. 1. ~ 2020. 12.
E-mail address: hjcho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7537
-
좋아요0
-
다운로드26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수산식품산업육성 기본계획 수립 연구
- 이전글
-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3/3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