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과제(1/3차년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 논의 배경과 식품제조업 주요 이슈
제3장 중소식품제조업의 안정적 성장 과제
제4장 식품제조업 일자리 평가와 정책 과제
제5장 식품제조업과 국내 농업의 연계 제고 방안
제6장 식품제조업의 지속적 성장 개척 방안
제7장 식품제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 방안
제8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식품산업은 영세업체 비율이 높고, 이들의 영업이익률과 시장협상력이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임금 수준의 상대적 저위로 인해 일자리 수급도 불안정하다. 이러한 특징들과 더불어 식품산업과 농업과의 높은 연계성을 고려할 때 타 산업에 비해 포용성장 개념을 검토하고 적용할 필요성이 크다. 식품산업 내 불평등 혹은 격차가 확산되고 있는 양상은 식품산업의 포용성장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식품산업의 규모별 생산성, 경영/일자리 이슈 및 다양한 격차를 포용성장의 관점에서 검토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포용성 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대응과제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한편, 우리 사회 전체, 경제, 환경, 소비자의 건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식품산업은 ‘지속가능성’을 추구해야 하며, 식품정책은 미래 지향적으로 이를 지지해야 할 것이다. 경영/일자리 및 사회적 책임 이행, 식품 폐기와 환경, 소비자의 건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식품산업은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식품정책’의 미래 지향적 대응과제를 도출할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대응과제를 도출함에 있어서 식품산업의 건전한 성장을 견인하고, 사회 전체의 포용성장 선순환체계 확립에 기여하며, 경제적으로 취약한 식품 소비자의 식생활 기본권을 보장하고, 식품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강화하며, 식품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환경 확립 등의 가치를 추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의 핵심 키워드인 ‘안정성장’, ‘공정 기회’, ‘공평 분배’, ‘미래 지향’, ‘환경/순환 중시’의 관점에서 핵심 토픽별로 현황을 검토하고 대응과제를 도출하였다. 검토한 5대 핵심 토픽은 중소식품제조업체 경쟁력 강화, 식품제조업 일자리 문제, 식품제조업과 농업의 연계 제고, 식품제조업의 지속적 성장 개척, 마지막으로 식품제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이며, 각 토픽별로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대응과제를 도출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are high needs of review and application in the areas of food policy and industry for the following problems: ① high proportion of small businesses in the food industry, ② low operating margins and bargaining power of small businesses, ③ high level of food insecurity for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and ④ high rate of business conversion or closur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⑤ the concept of inclusive growth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in terms of high linkage with agriculture. The spread of inequality or gap in the food industry may hinder the inclusive growth of the food industry; it is necessary to examine productivity and management issues by size and various gaps in the food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growth to drive inclusive growth.
The food industry should pursue ‘sustainability’ in various aspects―our society, the economy, the environment, and the health of consumers, and food policies should support it in a future-oriented manner. Specifically, the food industry needs to establish a sustainable production/service system to provide safe food at a stable price to consumers, and food consumption and diet-related food policies need to be designed and implemented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environment/social as well as consumer health and nutrition. Nowadays, sustainability is one of the main agendas in politics; food policy should also pursu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food policies oriented toward inclusive growth and sustainability’. In deriving policies, the study intends to ① lead the healthy growth of the food industry, ②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virtuous cycle for inclusive growth throughout society, ③ contribute to guaranteeing the basic right of food for economically vulnerable food consumers, ④ strengthen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food industry, ⑤ pursue values such as establishing a sustainable business environment for the food industry.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big data analysis for the derivation of topics, interviews and advisory meetings with policy managers to identify actual conditions or problems by topic, focus group interviews, surveys targeting experts, food manufacturers, consumers, and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food-related studies.
The study covered a wide range of topics and conducted collaborative research with subject-specific experts. The third chapter was conducted with Dr. Jung Soo-jung of Korea Small Business Institute, while the sixth chapter was conducted with Lee Ju-ryang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Dr. Lim So-young of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and Dr. Kim Ji-hyun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Key Research Result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Researchers: Kim Sanghyo, Lee Gyeim, Hong Yeona, Moon Donghyun, Heo Seongyoon, Lee Wookjik, Shin Seongyong
Research period: 2020. 1. ~ 2020. 12.
E-mail address: s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3528
-
좋아요2
-
다운로드449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 혁신성장을 위한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 개선 방안 (2/2차년도)
- 이전글
- 농업구조 변화 전망과 대응과제(2/2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