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가정간편식(HMR) 산업의 국내산 원료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가정간편식 시장 및 정책 동향
제3장 가정간편식 생산·판매 현황 및 전망
제4장 가정간편식 생산원료 사용·구매 현황
제5장 주요국의 자국산 원료 사용 관련 정책 동향
제6장 가정간편식 생산의 국내산 원료 활용도 제고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1인 가구, 맞벌이 증가 등 가구 특성 변화에 따라 식사행태 및 문화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가정간편식 시장도 2010년 이후 연평균 16.1%씩 성장하고 있으며, 올해 초 발생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가정간편식(HMR) 시장은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가정간편식 산업 성장에 따라 식품산업의 중요한 과제인 국내 농업과의 연계성을 강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가정간편식은 국내산 원료 사용 비중이 가공식품에 비해 높으며 성장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에 부응하여 국내 농업과의 연계성을 강화한다면 국내 농가소득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간편식 생산원료 이용 실태와 거래ㆍ조달구조, 국내산 원료 사용 애로 및 개선 요인을 분석하여 가정간편식 생산의 국내산 농산물 활용 증대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산 원료 사용 확대를 위한 과제는 크게 원료 사용자 측면과 제품 소비자 측면에서 발굴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number of one-person and double-income families increases, the market for home-meal replacements (HMRs) is rapidly growing. However, if the HMR market’s growth is not linked to local farming, its growth will not have positive impacts on domestic agriculture, such as farmers’ income incr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HMR producers’ characteristic and factors which encourage or discourage domestic use of agricultural products. Specifically, we considered measures from the perspectives of HMR ingredient suppliers and HMR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measures to increase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in HMRs by analyzing ingredients of HMR products, types of transactions and supply.
Research Methodology
This research applies various analysis methods, including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of HMR producers, vendors and experts, surveys for producers and consumers, case studies on overseas policies. The research examined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HMR production, sales, and ingredient transaction/procurement through interviews. For quantitative analysis, this study used a Tobit model and Heckman’s two-step procedures, representing censored regression model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domestic ingredients including the HMR companies’ characteristics (firm age, HMR sales, etc.), exports, and contract-based cultivation. Concerning consumers’ preference analysis, we used logistic regression and ordered logit models based on consumer survey data.
Key Findings
The total HMR sales in 2019 amounted to KRW 4.22 trillion.
Ready-to-heat (RTH) food and ready-to-cook (RTC) food took the largest share, followed by ready-to-eat (RTE) food, fresh convenience food, and meal kits (ready-to-prepare or RTP). HMR companies with large sales mainly produce hamburgers/sandwiches, instant soup/ stew, and dumplings. Their products are mostly sold through convenience stores. Meal kits, whose demand is soaring recently, are sold through megastores, while fresh convenience products, such as salads, are sold mainly by online mall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Researchers: Kim Kyungphil, Yoo Jeongho, Lim Seungju, Kim Jiyeon, Myeong Suhwan, Seok Junho
Research period: 2020. 1. ~ 2020. 10.
E-mail address: kkphi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17696
-
좋아요5
-
다운로드3882
같은 분야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한국의 인구변동 추이와 특징 : 식품시장 파급효과의 측면
이상림2024.12.30KREI 보고서 -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분야 순환경제 이행 지표 및 환경적 효과 평가 방안 연구
주문솔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채식 식품산업의 실태와 성장산업화 전략
박기환2024.10.30KREI 보고서 -
2023 농소모 활동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 트렌드 모니터)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2023 식품소비행태조사 통계보고서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2023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식품수급표 2022
홍연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경축순환농업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
- 이전글
- 미국 체리 산업 동향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