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토지공개념에 기초한 농지관리 제도 개선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토지공개념의 논의 동향
제3장 토지공개념과 농지공익성의 재인식
제4장 토지공개념에 기초한 농지관리 현황 및 제도 변화
제5장 토지공개념 인식 및 영향 분석
제6장 주요국의 토지공개념에 기초한 농지관리 사례
제7장 토지공개념에 기초한 농지관리 제도 개선 방안
요약문
2018년 문재인 정부에서 토지공개념 내용이 규정된 헌법 개정(안)을 국회에 발의하면서, 토지공개념에 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토지공개념에 대한 논의는 농지보다는 일반 부동산 대책의 일환으로 이루어져 왔고, 농업부문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농업 부문의 토지공개념은 해방 후 경자유전 원칙에 입각한 농지개혁 이후 진화를 거듭해오면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왔다. 토지철학으로서 토지공개념은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고 할 수 있지만, 현재 「농지법」에서는 ‘농지소유 자격제한’, ‘농지취득자격증명제’, ‘임대차 제한’, ‘농지보전부담금’, ‘양도소득세제’ 등 토지공개념이 반영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Research Background
The philosophy of the public concept of land became a key topic in Korea regarding the regulation on the use of land to solve urban problems in the late 1980s. Afterward, the National Assembly launched the Constitutional Research Advisory Committee in 2008,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Advisory Committee in 2014, and the Special Constitutional Amendment Committee in 2016, to study and accumulate overall issues on the Constitution. As the discussion on the public concept of land has continued,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proposed a constitutional amendment to strengthen the public concept of land. Although the proposed constitutional amendment contains the details of the philosophy, the discussions on the public concept of land until now have mostly focused on real estate and land. Moreover, there are few discussions of the concept in the agricultural sector.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public concept of land in agriculture has been applied in various forms as it has evolved since the agricultural reform based on the Land to the Tillers Principle. Promoting a new direction for the farmland management system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concept of land based on the specific nature of farmland.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new direction of the farmland management system by investigating the modern meaning of the Land to the Tillers Principle and considering the justification and policy direction to increase the publicness and public interest of farmland from the aspect of the public concept of land.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uses the literature review, the statistical data and quantitative model analysis, questionnaire survey, experts’ manuscripts and discussions, and overseas investigation.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papers on the public concept of land and the related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e statistical data and quantitative model analysis used the statistical data related to farmland. The farmland ownership and the status of use were analyzed based on the raw data of the comprehensive agricultural survey, agricultural economic survey, and agricultural corpor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Statistics Korea, the raw data of the land ownership by age group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raw data of the Farmland Register, Farmland Records, and Farmland Transaction Data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Furthermore, we analyzed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the farmland management function of Jeju Island using an intervention time series model.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1,603 local correspondents of the KREI were surveyed online, and 717 of them responded.
Findings
It is necessary to set the following basic principles and directions to apply the public concept of land for establishing the detailed policies of the farmland management system.
Firstly, the principle of the public concept of farmland should include the multidimensional functions and values of farmland and consider the prohibition of farmland speculation to be the basic principle of farmland management to protect farmland. Secondly, the farmland management should be switched from ownership-centered to use-centered and restrict the speculative farmland ownership while promoting leasing under the Land to the Tillers Principle. Thirdly, the unearned income from owning farmland should be collected for its use as the funding source for the protection of multidimensional values of farmland.
(The rest is omitted. See the attached file for details.)
Researchers: Chae Kwang-seok, Kim Booyoung
Research period: 2019. 1. ~ 2019. 10.
E-mail address: gscha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80875
-
좋아요1
-
다운로드57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지역 푸드플랜 실태와 정책과제
- 이전글
- 산림자원 순환경제 기반 마련을 위한 산림관리 효율화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