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농촌에 대한 2018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목차
제1장 조사 개요
제2장 조사 결과
제3장 농정에 대한 건의 및 제안
제4장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2018년 우리 농업계를 돌아보면 봄철 저온, 여름철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 등 기상이변으로 농산물 수급이 불안정하였고, 쌀 목표가격 설정과 직접지불제 개편 논의 등 농업을 둘러싼 내부 환경변화가 컸다. 대외적으로는 한·미 FTA 재협상, 미·중 무역 분쟁, 국제유가의 변동 등 불확실성도 증가했던 한 해였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재해지원 확대, 가축질병의 선제적 대응, 스마트팜 확산, 청년농 육성, 생산단계의 식품 안전성 제고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쌀값 회복, 가축질병 발생의 감소, 귀농·귀촌 및 청년농의 증가 등 성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06년 도시민까지 포함한 의식조사를 실시한 이래 정부정책 성과의 체감, 현장의 정책수요 등에서 기여해 왔다. 2018년에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는 국민들의 농업‧농촌에 대한 의식변화와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소비심리 변화, 농업 관련 현안들에 대한 견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는 연구과제 선정과 연구수행에 참고하고,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확산을 위한 여론 형성과 정책지원 활동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조사는 2018년 11월 24일부터 12월 14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도시민 1,500명과 농업인 1,259명 등 국민 2,759명이 참여하였다.
이 보고서에는 도시민과 농업인의 다양한 정책 건의와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제언도 함께 수록하였다.
The result of the 2018 Public Opinion Survey o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shows that many people think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re important and have an affection for them. However, while 85.5% of urban people think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mportant, 52.2% of urban people have an affection for them, showing a large difference of 33.3 percentage points. For urban peop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thereby have an affection for them, various efforts are needed, including experience, promotion, and education.
Both farmers and urban people highly evaluated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Nevertheless, only 53% of urban people were in favor of paying additional tax to maintain and preserve the value.
Both farmers (73.1%) and urban people (81.5%) pointed out "stable supply of food" 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n the present. Nonetheless, as for the future roles, the respondents expec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stable supply of food" would decrease and that the improvement of food safety and regional vitalization would become more important.
Farmers and urban people showe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or living environment of their current place of residence: while 33.6% of farmers were satisfied, 54.7% of urban people were satisfied. The level of farmers' self-rated quality of life was also lower than that of urban people's. On the other hand, 47.8% of urban people were in favor of increasing the budget for rural welfare. This figure was higher than the opposite opinion.
Among urban people, 31.3% had an intention to return to farming or rural areas for rural and free life. However, many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have any concrete plan yet. On the other hand, urban people pointed out inconvenience in the labor and settlement environment as the reason for no intention to return to farming or rural areas. Thus, to promote urban-to-rural migr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fessional education for urban people's settlement in rural areas as farmers, and to improve settlement conditions.
Urban people were more positive about the recent rise in urban-to-rural migrants than farmers. Farmers were more positive about the increase in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than about the growth of the total urban-to-rural migrants. This seems to show that farmers are concerned about labor shortage due to aging and the lack of agricultural successors. On the other hand, 30% of farmers were negative about the increase in urban-to-rural migrants because of conflicts and disharmony with existing residents.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urban-to-rural migrants with prior training on communication with existing residents and on conflict management.
Overall, both urban people and farmers responded that the safety and competitiveness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were high. Nevertheless, on the purchase of domestic and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the following response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nd is increasing gradually: "I will purchase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if domestic ones are much more expensive." This result implies the need to secure the quality competitiveness and pric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Although farmers' overall job satisfaction improved compared to 2017, still the percentage of dis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The biggest reason for dissatisfaction was "low income for efforts." Also, farmers pointed out "labor shortage due to the decrease and aging of the rural population" as the biggest factor threatening farm management. Therefore, in terms of policy support,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farmers' income, and secure the workforce by increasing urban-to-rural migration and fostering young farmers.
Concerning 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rural life, the percentage of satisfied farm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dissatisfied farmers. Nonetheless,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farmers' physical health conditions are not good, and their health management is insufficient. Thus, it is needed to enable farmers to check and manage their health by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medical care and transportation in rural areas.
Researchers: Song Seonghwan and Park Hyejin
Research period: 2018. 1. ~ 2018. 12.
E-mail address: song9370@krei.re.kr, frog78@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3076
-
좋아요1
-
다운로드131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정책지원을 위한 농업통계정보 활용사례
- 이전글
-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2/2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