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1/2차년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신기후체제와 국가 이행수단의 변화
제3장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제4장 농축산식품부문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수단 인벤토리 구축
제5장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수단의 경제적 효과분석
제6장 결론
요약문
교토체제가 끝나가는 시기에 파리 기후변화협정이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 새로운 국제 규범에 따라 온실가스를 줄이고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은 미국의 탈퇴선언에도 불구하고 중단할 수 없는 숙명이 되었다. 스스로 목표를 정하여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겠다는 범지구적인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우리나라도 목표를 제시하고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 계획을 수립하였다. 식량 공급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농축산식품 분야의 경우 새로운 목표 달성을 위한 변화에 동참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기후변화가 심화되는 경우 직면하게 될 위험과 식량 공급시스템의 취약성을 고려하면 오히려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요구된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노력은 비용을 수반하게 된다. 특히 자연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농축산식품 분야는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온실가스를 완화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적인 영향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가기 위해 수행되었다. 내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농축산식품 부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 전반에 걸친 영향을 추정하게 될 것이다.
Background of Research
Since the Paris climate change agreement officially took effect in November 2016, humanity has started a new climate regime beyond the Kyoto regim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impact of Korea's participation in the new climate regime and implementation of voluntary goals on the socio-economic sectors including the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and food sectors, and prepare countermeasures. To achieve the final objective of presenting the agriculture, livestock and food sectors' systematic and viable strategies for effective greenhouse gas (GHG) mitig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new climate regime, this first-year study analyzed economic ripple effects of mitigation and adaptation methods to be applied due to the acceptance of the new regime.
Methods of Research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national goals of mitigation, marginal abatement cost analysis was applied. Concerning adaptation, because concrete national goals were not presented, scenarios linked with farm-level profit maximization were set up, and the impacts by each scenario were measured.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o achieve the goal of cutting Korea's GHG emissions and additional reduction for raising the goal in the new climate regime, much effort is needed to lower GHG emissions in non-energy sectors. For this, it is urgent to develop a method for GHG reduction in non-energy sectors that can prove the reduction result transparently and scientifically. Also, it is necessary to first reduce GHG emissions due to livestock excretions, because the proportion of the emissions is the highest in the agriculture, livestock and food sectors. The development of bioenergy, a way to use emission sources in non-energy sectors as energy, can cut GHG emissions in both sectors. A representative method is to utilize livestock excretions as energy sources. Promoting the local food movement can reduce GHG emissions owing to the trans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Although this may not be included in the direct emissions reduction performance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sector, it can contribute to environmental policy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consumption policy. Last, it is required to seek a way to promote a certification system of low-carbon agricultural products. If farmers take part in the system actively, it will not be difficult to accomplish the reduction goal, and there will not be a problem in raising the goal for a while. However, becaus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system is very weak, solutions to it are urgent.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temperature rise and changes in precipitation patterns due to climate change have various effects on potential yields of crops, tolerance of production functions, the optimum amount of inputs, production management costs and so on. Therefore, characteristics of each crop should be considered in adaptation policies. As for vegetables, the optimum input of intermediary goods and farm operating costs wer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R&D or support related to cutting farm households' production costs is judged to be more effective than R&D such as the development of varieties. Nevertheless, because leaf and root vegetables are mostly grown outdoors, reducing their production costs by applying ICT etc. will be limited. Thus, more effective policy directions may be developing appropriate technologies through which farmers can utilize intermediary goods efficiently, and providing services that can decrease farm households' information costs. As for grains with miscellaneous grain crops excluded, R&D is necessary to increase potential production and tolerance of produc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for the livestock sector, climate change was forecasted to decrease the average number of livestock in Korean and beef cattle farms and dairy farms, but increase the average number of livestock in layer chicken, broiler and pig farms. Nevertheless, the modification of livestock farms' production structure, including switching livestock species, requires crop farms' considerable fixed costs and time. Therefore, a policy will be needed to lessen the burden due to farm restructuring.
Last, the reduction inventory, especially the inventory related to the use of intermediary goods can conflict with incentives for farmers'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refore, to establish effective reduction and adaptation policies, an integrated point of view i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synergy between reduction and adaptation and trade-off effects.
Researchers: Lee Sangmin, Lim Youngah, Sung Jaehoon, An Hyeonjin, Lee Hyeonjeong, Lee Hyejin
Research period: 2017. 1. ~ 2017. 12.
E-mail address: smle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02071
-
좋아요12
-
다운로드856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2017 농소모 활동보고서 (농소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트렌드 모니터)
- 이전글
- 시장 개방 확대에 대응한 밭농업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3/3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