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산물 온라인마케팅 실태와 개선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온라인 거래 동향과 관련 정책
제3장 농식품 온라인 거래 유형화 및 실태 분석
제4장 소비자의 농식품 온라인 구매 행태 분석
제5장 주요국의 농식품 온라인 거래 동향과 시사점
제6장 농식품 온라인 거래 정책 개선과제
요약문
급속한 IT 기술의 발달과 확산, 편리성과 신속성 등으로 인해 농산물 온라인 거래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농산물은 도매시장을 경유하여 소매점으로 유통되는 기존의 거래방식에서 새로운 차원의 거래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온라인 거래는 변화하는 소비자의 소비패턴 변화에 즉각 대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통구조 개선과 농가소득 증대 측면에서도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농산물 온라인 거래의 급격한 확산과 정부가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생산자 및 공공기관이 운영 중인 온라인 쇼핑몰은 광고와 홍보의 낙후성, 수익창출 및 운영전략 부재 등으로 인해 효율적인 마케팅 수행이 곤란한 상황이다. 이로 인해 매출 성장세가 정체되거나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민간업체 중심의 오픈마켓은 수수료 책정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농산물 온라인 거래는 진화하는 IT 기술 혁신과 편리성과 신속성을 추구하는 소비자 패턴 변화 등으로 향후에도 계속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산물 온라인 거래에 대한 체계적인 실태 파악이 이루어져 있지 않아 문제점 진단을 통한 효율적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온라인 거래의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에도 규모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농업경영체의 온라인 거래의 활성화 정책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Background and Objective
○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mainly made through the distribution path from wholesale markets to retail shops, that is, ‘farmer-local seller-wholesaler-retailer-consumer.’ For the representative agricultural products, that is, fruits and vegetables, wholesalers handle more than 71% in the wholesale markets after marketing by farmers, and this implies transactions in the wholesale markets st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 However, while conventional transactions through the wholesale markets ensure transparency and fair transactions, many distributors are involved in the wholesale stage to result in complicated transactions, and transaction fees claimed in each transaction step. This reduces farmer’s income, and is a main reason for increasing retail prices.
○ As described above,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made offline, for example, transactions with large scale distributors, and transactions directly with consumer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transactions through the wholesale markets. Recently, online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increasing thanks to fast IT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pagation, convenience and speedy transactions as well as offline transactions. Online transactions can respond immediately to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 changes, and are the most effective transaction method in terms of improvement of distribution structure and farmer’s income increase.
○ The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online transaction (e-transa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has established some related policies. Exemplary policies include the “Plan for Promoting E-transa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1988)”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Mid-term Plan for Vitalizing E-transactions (2003)”, recent promotion of building an online transaction platform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2014)”, and “Master Plan for Promoting Us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Vitalizing Direct Transactions (2016).”
○ Online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widespread, and the government has promoted related policies. However, because online shops operated by farmers and public institutions are left behind in terms of advertisement and public relations, and do not have strategies for profit creation and operation, efficient marketing is not implemented. Therefore, it is known that sales growth is sluggish or they experience difficulty in operation. Another issue of the open market mainly by private companies is fee pricing.
○ Online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will continue because of innovative IT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nsumer pattern change seeking convenience and speedy transactions. However, because the current situation of online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is not examined, it is hard to establish efficient policies on involved issues.
○ This study aims to classify online transaction types of agricultural food,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each type and involved issues to establish policies for vitalizing online transactions by agricultural holdings.
- Specifically, analyze transaction factors as well as use of online transactions by examining current operation and involved issues by investigating agricultural holding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MAFRA, aT, local governments, etc.) participating directly and indirectly in online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food, and surveying consumers.
- Suggest a strategy for vitalizing online transactions of agricultural food more efficiently to use the result as essential data for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by the government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7321
-
좋아요8
-
다운로드1818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용수 수요 특성과 물부족 대응 방안
- 이전글
- 지역단위 6차산업화 활성화 방안